젖무덤에 관한 단상
2006/05/30 오후 10:14 | 마음이 머무는 자리

젖무덤에 관한 단상 조회(1824) / 추천 /  퍼가기(1)
http://images.joins.com/blog/blogv3_1/dotline05.gif) repeat-x; PADDING-BOTTOM: 0px; PADDING-TOP: 0px" colSpan=3>
등록일 : 2006-05-30 16:25:42
젖, 그말을 맨처음 발음한 사람은 누구일까. 젖이란 말을 지금의 젖의 의미로 처음 쓴 사람은 누구일까. 그 처음의 젖의 말맛을 알아보고 덩달아 쓰기 시작한 사람은 누구일까. 모든 낱말들은 이런 신비한 처음을 갖고 있겠지만, 젖은 그 처음 쓴 사람이 궁금해질 만큼 완전한 말이다.

대개 한 글자 말은 삶에서 몹시 긴요하고 자주 쓰는 말이다. 인간은 처음에 한 글자로 대상의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을 것이다. 반드시 그런 순서는 아니겠지만, 전화번호를 만들 때처럼, 이름을 붙여야할 대상이 많아지면서 두 글자, 세 글자로 낱말들을 늘려갔을 것이다. 그러니까 낱말을 이루는 글자의 숫자는 문명의 진화 과정을 품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말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 소릿값이 어려울 수록 진화된 말일 가능성이 있다. 한 글자 말은 그러니까 가장 원시적인, 가장 본능적인 말인 셈이다.

젖은 한 글자이다. 인간의 신체에 붙은 것들, 눈, 코, 입, 귀, 손, 발, 배, 등이 한 글자인 것처럼 젖도 딱 한 글자이다. 젖은 인간의 가슴에 붙은 두 알의 융기를 가리키기도 하지만, 그것의 부리에 해당하는 유두에서 내는 액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그 액체는 인간이 내는 분비물 중에서 유일하게 그 자체가 '음식'인 경우이다. 그래서 젖은, 밥이나 죽, 떡, 국과 같이 또다른 영역에서 한 글자 계보에 오른다.

 


젖은 이른 바 두 겹의 무의식이다. 어머니의 몸에서 떠밀려나온 인간이 모체의 체온을 기억하며 의지 삼는 불룩한 무덤이 젖이다. 입으로는 젖을 빨고 손으로는 다른 젖을 만지면서 인간은 고독한 개체의 불안을 잠깐 잊었다. 입술에 걸린 젖꼭지가 잇몸에 닿는 그 촉감은, '키스'라는 성행위를 번성하게 했다. 키스는 어린 날의식사의 추억과 결부된 감미로운 퇴행이다.

다른 손이 만지던 젖은 그 이후 평생 동안 인간이 이 젖가슴의 온기를 그리워하도록 만들었다. 젖은 부드럽고 둥글고 따뜻하게 손에 쥐어졌다. 부드러움과 둥금과 따뜻함, 그 세 가지의 특징들은 제각각 인간이 찾아헤매는 욕망의 표지판이 되었다. 모든 부드러운 것은 어머니다. 모든 둥근 것은 어머니다. 모든 따뜻한 것은 어머니다. 그리고 그것들은 젖무덤의 추억이다.


 


또 한겹은 먹는 일의 행복감이다. 탯줄을 통해 저절로 해결되던 식사는, 자궁을 떠나오면서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힘겨운 행위로 바뀌었다. 내 힘으로 젖을 찾아 물어야 내 배를 채울 수 있다는 일. 그건 시련의 시작이었다. 하지만 그 수고를 통해 내 배가 채워지는구나. 그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물론 그게 잠정적인 식사인 줄은 꿈에도 몰랐지만, 영원히 그렇게 편한 식사를 할 수 있을 줄 알았지만, 젖을 물고 있을 때의 안심과 위로는 당시로선 이루 말할 수 없는 기쁨의 원천이었다.

내게 영원한 목숨의 지원자가 있고 나는 지금 그 지원을 받고 있다. 수도꼭지처럼 스위치를 굳이 돌리지 않아도 입만 대고 빨기만 하면 무한하게 공급되는 음식천국. 우리가 그토록 격렬하게 먹이를 찾아 헤매게 되는 건, 단지 공복감 때문이 아니라, 존재 심연에 찾아드는 원천적인 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른 바 모천(母泉) 상실의 불안이, 평생 미친 듯 입 속으로 음식을 쓸어넣는 강박을 낳았을 지도 모른다.


 5


젖은 그 소릿값조차도 어머니처럼 부드럽다. 짜고 자극적인 '젓'이 아니라, 그저 촉촉히 젖어드는 '젖'이다. '젖다'라는 동사는 젖의 원천적 기억을 품고 있다. 손에 닿던 그 부드러운 액체의 기억에 젖어들지 않았다면 '젖다'라는 말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그리고 '젖'이라고 한 마디로 발음하려면 젖이 되지 않고 '젇'이 되고 만다. 젖은, 모음(母音, 엄마소리!)인 뒷말을 부드럽게 물고 있어야 '젖이' 된다.

젖은 또 ㅈ으로 시작되고 ㅈ으로 끝난다. 보라. ㅈ을 발음하면 입술이 약간 젖혀지고 목구멍에선 호들기 소리처럼 떨리는 소리가 나온다. 젖을 빨고 있을 때의 입모양새를 닮지 않았는가.


 6


그 중간에 있는 모음 ㅓ는 어머니의 ㅓ이고 엄마의 ㅓ이다. ㅓ와 ㅏ가 다른 것은 자연스러움의 차이이다. ㅓ는 저절로 나오는 소리이며, ㅏ는 입을 더 벌리고 발음을 강하게 해야 나오는 의식적인 소리다. 엄마보다 아빠가 나중인 건 이런 까닭이다. 젖은 그 안에 이미 엄마를 품고 있다. 엄마의 젖을 찾는 입술 모양인 ㅈ, 그리고 엄마인 ㅓ, 그리고 다시 엄마의 젖을 빨고 있는 ㅈ. 그래서 젖 한 글자에 완전한 젖먹이의 꿈이 감돈다. 젖 아니고 무슨 말로 저 기분좋은 말을 표현할 수 있겠는가.






 6


가람 이병기의 시조인 '젖'은 그 오묘한 낱말의 완전함을 이해한 시이다. 자식의 무릎을 베고 누운 엄마의 임종을 지키던 날, 모자가 모두말문이 그만 막히는데 그때 엄마는 가슴을 열어 쭈그러든 젖을 보여준다.

거기엔 모든 말이 들어있고 모든 생각이 들어있고 모든 기억이 들어있고 모든 그리움이 들어있다. 젖이 말하는 언어는 순정하고 완전하다. 나에게 먹이고 이미 쭈그러든 젖 앞에서, 나는 나의 본질과 원형을 만날 수 밖에 없다.

마침 젖이란 말에는 '무덤'이라는 말이 붙기도 한다. 젖무덤은 어쩌면 내 어린 천국을 묻고온 그 자리인지 모른다. 우린 저 두 개의 무덤과 마침내 나를 앉힐 한 개의 무덤 사이에서 방황하는 작은 어린아이인지 모른다. 젖무덤 바깥으로 걸어나가서, 평생 얼마나 외롭고 힘겨웠느냐. 젖이란 말 속에서 엄마가 가만히 울고 있다.

'명상의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를 사랑하는 나의맘  (0) 2006.09.25
그럽디다. 사는것이다 그럽디다.  (0) 2006.09.25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1) 2006.09.25
이방인과 최면  (0) 2006.09.25
사랑하는사람과 받는사람  (0) 2006.09.25
Posted by ogfriend

블로그 이미지
오래된 그리고 좋은 친구들이 가끔들러 쉬다 가는곳.. 블로그에 게재된 내용 중 게재됨을 원치 않으시거나, 저작권자의 요청이 있으면 즉시 게재한 내용을 삭제하겠으니 삭제요청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모닥불 올림. Any copyrighted material on these pages is used in noncomercial fair use only, and will be removed at the request of copyright owner.
ogfriend

태그목록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2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