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는 개미와 배짱이와 지네가 내기 고스톱을 했습니다. 먼저 번처럼 지네가 졌습니다. 지네가 또 벌칙으로 뭔가를 사러가야 되는데, 지네가 가게 되면 자기 신발 찾아 신느라고 날밤을 다 새게 생긴 상황입니다. 그때 개미가 제 성질에 못 견뎌서 "관둬. 내가 갔다 올테니까 지네 너는 여기 가만히 있어." 그리고는 밖으로 나갔습니다.
그런데 금방 돌아올 것 같은 개미가 돌아오지를 않았습니다. 먼저 번 지네가 나가서 신발 신는 시간에 버금가도록 소식이 없는 것입니다. 궁금해서 배짱이가 문을 열고 밖을 보니 어둔 마당 저 가운데 뭔가 꺼먼 녀석이 몸을 구부린 채 씩씩거리고 있는 것입니다. 배짱이가 궁금해서 나가봤더니 뭘 사오겠다던 개미 그 녀석이었습니다.
그 개미는 씩씩거리면서 다음과 같이 투덜거리고 있었습니다. "이것도 지네 신발, 이것도 지네 신발, 이것도..... 젠장. 내 신발은 도대체 어디 있는 거야?"
이 글은 성결광장에서 계영배님이 올린 글 속에 나오는 이야기인데 읽는 순간 터져 나오는 웃음을 참을 길이 없었습니다. 한 10분간은 웃느라고 다른 글을 읽을 수도 없었고 내가 쓰려던 글을 쓸 수도 없었습니다. 등은 구부린 채 자기 신발을 열심히 찾으며 투덜거리는 개미 녀석의 모습이 눈에 확 들어오는 것만 같았습니다.
잠시 웃음을 진정시킨 후 이 이야기를 다시 생각해 보았는데 웃음보다 더 많은 교훈을 주는 내용이었습니다. 개미가 자신의 신발을 찾지 못한 이유는 지네의 신발이 많아서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이유가 따로 있었던 것입니다. 그것은 어두움이라고 하는 요소입니다. 어둔 마당이기에 많은 신발들 중에서 자신의 신발을 발견하기가 쉽지 않았던 것입니다.
사실 지네의 신발이 많다 해도 밝은 낮이라면 이리저리 애쓰며 자신의 신발을 찾을 때 얼마든지 신발을 찾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만 어두운 시간이다 보니 자세히 자신의 눈을 신발들 있는 곳으로 옮겨야 하며 그래도 찾기가 어려워진 것입니다. 그냥 간단히 웃으며 지나갈 이야기인데 뭘 그리 심각하게 생각하느냐고 물을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만 내게는 너무 중요한 이야기로 다가오기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사람에게 빛이라고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한밤 중 정전만 되어도 깊이 느낍니다. 갑자기 암흑 세상이 되면 허둥지둥 촛불이나 전등이라도 찾아야 하는 것이 사람인 것입니다. 한 걸음 내딛는 것도 어려워지며 작은 장애물에도 더 쉽게 넘어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밝을 때 쉽게 찾던 것조차도 한참을 더듬어서 겨우 찾든지 아예 어디 있는지 방향조차 분간하지 못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사람에게는 육의 눈이 어두워서 헤매는 것 이상으로 정신과 영혼이 어두워져서 앞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것이 더욱 큰 문제인 것 같습니다. 주변적인 어두움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스스로의 눈에 무엇인가가 끼어버려서 마땅히 볼 것을 보지 못하는 일이 많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때로는 이데올로기가, 때로는 아집이, 때로는 비뚤어진 신앙이, 때로는 자신이 절대시하는 어떤 경험이 우리의 눈을 어둡게 만드는 것입니다.
밝았다면 쉽게 찾을 수 있는 간단한 것조차 제대로 찾지도 분별하지도 못한 채 허둥거리며 시간만 허비하는 모습들이 내게도 얼마나 많았는지 모릅니다. 바로 곁에 두고도 그것이 보이지 않아 찾지 못한 채 공연히 지네의 신발 많음을 탓하는 개미처럼 주변의 여러 요인들을 원망하고 불평하였던 모습들이 무더기로 떠오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눈이 어두우며 볼 것도 제대로 못 본다는 것을 알리고 싶지 않은, 아니 아예 인정하고 싶지도 않은 알량한 자존심 때문에 얼마나 큰소리를 치고 살았는지 모릅니다. 지난 세월 속에 그런 삶이 많았고 뼈저리게 후회하면서도 지금 또 다시 그런 것을 반복하는 자신의 모습을 본다는 것은 비극입니다. 한심하고 비참한 일입니다.
최근 들어서도 나는 내 자신이 얼마나 소경같은 사람이었는지를 많이 느끼고 있습니다. 이미 결과로 드러나 모든 사람들이 다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나 자신을 변호하며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내가 옳은 결정을 한 것이라고, 내 눈이 밝아 제대로 보고 있으니 걱정하지 말라고 얼마다 당당하게 떠벌렸는지 모릅니다. 땅굴을 파고 깊숙이 들어가도 부끄러움을 다 숨기지 못할 것 같습니다.
소경이 소경은 인도하면 둘이 다 구덩이에 빠진다는 성경의 한 구절이 생각납니다. 잘못을 바로잡고 찾아야할 것을 제대로 찾기 위하여 먼저 어둠 속에 있는 자신을 인정하는 것이 급선무이며 겸손하게 빛을 구하는 낮아짐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시간들을 보내고 있습니다. 어쩌면 나보다 낫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자기 합리화로 눈이 어두워진 채 무조건 자신을 믿고 따라와 보라고 허풍을 떠는 분들이 많을 것도 같습니다.
모든 것을 백지 상태로 돌리는 것이 자존심이 상하고 아픔이 되더라도 용기와 결단을 통해 자신을 깊이 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절대화의 자리에서 자신을 끌어내리고 객관적인 눈으로 자신을 보려고 노력하며 어두움이 되게 하는 요소들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제거하는 작업을 통해 나를 포함한 많은 분들의 눈이 밝아지기를 기대해봅니다. 그래야 비로소 이 땅에도 소망의 빛이 보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찌 보면 선문답같은 내용의 글이지만 내 자신에게는 뼈 속 깊이 파고드는 최근의 가슴앓이와 직결되는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