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10. 2. 17:41 건강,생활상식

흥보전

흥 보 전


<신재효 판소리 여섯 바탕중에서 흥보전>

아동방(我東邦)이 군자지국이요, 예의지방이라. 십실지읍(十室之邑)에도, 충신이 있고, 칠세지아도, 효제를 일삼으니, 무슨 불량한 사람이 있것느냐마는,순임금 세상에도 사흉(四凶)이 있었으며 요임금 당년에도, 도척(盜 )이 있었으니 아마도 일종(一宗) 여기는 어찌할 수 있것느냐.
충청 전라 경상의 삼도 월품에 사는 박가 두 사람이 있었으니 놀보는 형이요 흥보는 아우인데 동부동모 소산이되 성정은 아주 달라 풍마우지 불상급(風馬牛之不相及)이라.
사람마다 오장육부로되 놀보는 오장칠부인 것이 심사부(心思腑) 하나가, 왼편 갈비 밑에 병부주머니를 찬 듯하여 밖에서 보아도 알기 쉽게 달리어서 심사가 무론(毋論) 사절하고, 일망무제(一望無際)로 나오는데 똑 이렇게 나오것다.
본명방(本命方)에 벌목하고 잠사각(蠶絲角)에 집짓기와 오귀방(五鬼方)에 이사권코, 삼재든
데 혼인하기 동네 주산을 팔아먹고 남의 선산에 투장(偸葬)하기 길 가는 과객 양반 재울 듯이 붙들었다 해가 지면 내어쫓고, 일년고로(一年苦勞) 외상 사경(私耕) 농사지어 추수하면
옷을 벗겨 내어쫓기, 초상난 데 노래하고 역신 든데 개 잡기와 남의 노적에 불지르고 가뭄
농사 물꼬 베기 불붙은 데 부채질, 야장(夜葬)할 때 왜장 치기 혼인뻘에 바람 넣고 시앗 싸움에 부동(符同)하기, 길 가운데 허방놓고 외상 술값 억지 쓰기 전동(顫動)다리 딴죽치고 소경 의복에 똥칠하기 배 앓이 난놈 살구 주고 잠든 놈에 뜸질하기 닫는 놈에 발 내치고 곱사등이 잦혀놓기, 맺은 호박 덩굴 끊고 패는 곡식 모가지 뽑기 술 먹으면 후욕(逅辱)하고 장시간(場市間)에 억매하기 좋은 망건 편자 끊고 새 갓 보면 땀대 떼기 궁반 보면 관을 찢고 걸인 보면 자루 찢기 상인을 잡고 춤추기와 여승보면 겁탈하기 새 초빈(草殯)에 불지르고 소대상에 제청치기, 애 밴 계집의 배통 차고 우는 아이 똥 먹이기 원로행인의 노비 도둑, 급주군(急走軍) 잡고 실랑이질, 관차사의 전령 도둑 진영교졸(鎭營校卒) 막대 뺏기 지관을 보면 패철(佩鐵)깨고 의원 보면 침 도둑질 물 인 계집 입맞추고 상여 멘 놈 형문 치기 만만한 놈 뺨 치기와 고단한 놈 험담하기 채소반에 물똥 싸고 수박밭에 외손질과 소목장(小木匠)이의 대패 뺏고 초라니패 떨잠 도둑 옹기짐의 작대기 차고 장독간에 돌 던지기, 소매치기 도자속금(盜者贖金) 고무도적의 끝돈 먹기와 다담상에 흙 던지기 계골(計骨)할 때 뼈 감추기 어린애의 불알을 발라 말총으로 호아매고 약한 노인 엎드러뜨리고 마른 항문 생짜로 하기 제주병(祭酒甁)에 개똥 넣고 사주병(蛇酒甁)에 비상(砒霜)넣기 곡식밭에 우마 몰고 부형 연갑에 벗질하기 귀먹은 이더러 욕하기와 소리할 때 잔말하기, 날이 새면 행악질 밤이 들면 도둑질을 평생에 일삼으니 제 어미 붙을 놈이 삼강을 아느냐 오륜을 아느냐. 굳기가 돌덩이요 욕심이 족제비라 네모진 소로(小 )로 이마를 비비어도 진물 한 점 아니나고 대장의 불집게로 불알을 꽉 집어도 눈도 아니 깜짝인다.
흥보의 마음씨는 저의 형과 아주 달라 부모에게 효도하고 어른에게 존경하며 인리간에 화목하고 친구에게 신의 있어 굶어서 죽게 된 사람에게 먹던 밥을 덜어주고 얼어서 병든 사람 입었던 옷 벗어주기 늙은이의 짊어진 짐 자정하여 저다주고 장마 때 큰물가에 삯 안 받고 월천(越川)하기 남의 집에 불이 나면 세간 지켜주고 길에 보물이 빠졌으면 지켜 섰다 임자 주기 청산에서 백골을 보면 깊이 파고 묻어주며 수절과부 보쌈하면 쫓아가서 빼어 놓기 어진 사람 모함하면 대로 나서 발명하고 애잔한 놈 횡액 보면 달려들어 구원하기 길 잃은 어린아이 저의 부모를 찾아주고 주막에서 병든 사람 본가에 기별하기 계칩불살(啓蟄不殺) 방장부절(方長不折),남의 일만 하느라고 한 푼 돈도 못 버니 놀보 오죽 미워하랴.
하루는 놀보가 흥보를 불러,
"흥보야 네 듣거라, 사람이라 하는 것이 믿는데가 있으면 아무 일도 안 된다. 너도 나이 장성하여 계집 자식이 있는 놈이 사람 생애 어려운 줄은 조금도 모르고서 나 하나만 바라보고 유의유식(遊衣遊食) 하는 거동을 보기 싫어 못 하것다. 부모의 세간 아무리 많아도 장손의 차지인데, 하물며 이 세간은 나 혼자 장만했으니 네게는 부당이라. 네 처자를 데리고서 속거천리(速去千里) 떠나거라. 만일 지체하여서는 살육지환(殺戮之患)이 날 것이니 어서 급히 나가거라."
가련한 흥보 신세 지성으로 비는 말이,
"비나이다 비나이다, 형님전에 비나이다. 형제는 일신이라 한 조각을 베면 둘다 병신 될것이니 외어기모(外禦其侮)를 어이 하리. 동생 신세 고사하고 젊은 아내 어린 자식 뉘 집에 의탁하여 무엇 먹여 살리리까. 장공예(張公藝)는 어떤 사람인고 하니 구세(九世) 동거 하였는데 아우 하나 있는 것을 나가라 하나이까. 척령( )은 짐승이나 금란지의(金蘭之誼)를 알았고 상체(常 )는 꽃이로되, 탐락지정을 품었으니 형님 어찌 모르시오. 오륜지의를 생각하여 십분 통촉하옵소서."
놀보가 분이 상투 끝까지 치밀어 그런 야단이 없구나.
"아버지 계실적에 나는 생판 일만 시키고서 작은 아들이 사랑옵다 글공부만 시키더니 너 매우 유식하다. 당 태종은 성주로되 천하를 다투어서 그 동생을 죽였으며 조비(曹丕)는 영웅이나 재조를 시기하여 그 아우를 죽였으니 나 같은 초야 농부가 우애지정(友愛之情)을 알것느냐."
구박 출문 쫓아내니 가련하다 흥보 신세 개구 다시 못 하고서 빈손으로 쫓겨나니 광대한 이 천지에 무가객(無家客)이 되었구나.
불쌍한 흥보댁이 부자의 며느리로 먼 길 걸어 보았것나. 어린 자식 업고 안고 울며불며 따라갈 제 아무리 시장하나 밥줄 사람 뉘 있으며 밤이 점점 깊어 간들 잠잘 집이 어디 있나. 저물도록 빳빳이 굶고 풀밭에서 자고 나니 죽을 밖에 수가 없어 염치가 차차 없어 가네. 이곳저곳 빌어먹어 한두 달이 지나가니 발바닥이 단단하여 부르틀 법 아예 없고 낯가죽이 두꺼워서 부끄러움 하나 없네. 일년 이년 넘어가니 빌어먹기 수가 터져 흥보는 읍내에 가면 객사에나 사정(射亭)에나 죄기(坐起)를 높이 하고, 외촌을 갈 양이면 물방아집이든지 당산 정자 밑에든지 사처(舍處)를 정하고서 어린 것을 옆에 놓고 긴 담뱃대 붙여 물고 솥솔을 매든지 또아리를 겯든지 냇가나 방죽이나 가까우면 낚시질을 앉아 할 제 흥보의 마누라는 어린 것을 등에 붙여 새끼로 꽉 동이고 바가지엔 밥을 빌고 호박잎에 건건이 얻어 허위허위 찾아오면 염치없는 흥보 소견에 가장태(家長態)를 하느라고 가속이 늦게 왔다고 짚었던 지팡이로 매질도 하여 보고 입에 맞는 반찬 없다 앉았던 물방아집에 불도 놓아 보려 하고 별수를 매양 부려 하루는 이 식구가 양달 쪽에 늘어앉아 헌 옷에 이 잡으며 흥보가 하는 말이,
"우리 신세 이리되어 이왕 빌어먹을 테면 전곡(錢穀)이 많은 데로 가볼밖에 수 없으니 포구(浦口) 도방(道傍) 찾아가세 ."
일 원산 이 강경 삼 포주 사 법성리 악안 부원다리 부안 줄내 근방을 다 찾아다녀 보니 비린내에 속 뒤집혀 암만해도 할 수 없다. 산중으로 다녀 볼까 우복동 수인성 청학동 백학동 두류산 속리산 순창 복흥 태인 산안 한다는 좋은 데를 다 찾아다녀 봐도 소금 없어 살 수 없다. 고향 근처로 도로 찾아 한 곳을 당도하니 촌명은 복덕이요 인심은 순후한데 빈집 한칸이 서 있거늘 잠시 주접하여 살아보니 집 꼴이 말 아니어 집 마루에 이슬이 오면 천장에
큰 빗방울. 부엌에 불을 때면 방안은 굴뚝이요 흙 떨어진 욋대 구멍에 바람은 살 쏜 듯이 틀만 남은 헌 문짝에 공석(空石)으로 창호하고 방에 반 듯 드러누워 천장을 망견하면 개천도(開天圖)를 붙인 듯이 이십팔 수를 세어 보고 일하고 곤한 잠에 기지개를 불끈 켜면 상투는 허물없이 앞 토방에 쑥 나가고 발목은 어느새에 뒤안에 가 놓였구나. 밥을 하도 자주 않으니 아궁이 풀을 뽑았으면 한 마지기 못자리는 넉넉히 할 테어든 그렁저렁 여러 해에 자식은 더럭더럭 풀풀이 생겨나고 가난은 버쩍버쩍 나날이 심해 가니 여거 식구 굶어 내기 초상 난 집 개 같구나.
흥보의 마누라가 견디다 못하여 가난 타령 섧게 울 제,
"가난이야 가난이야 천만고에 있는 가난 아무리 헤아려도 내 위에는 다시없네. 환도소연(環堵蕭然) 불폐풍일(不蔽風日) 도정절(陶靖節)의 가난하기, 내 집보단 대궐이요 삼순구식(三旬九食) 십년일관(十年一冠) 정광문(鄭廣文)의 가난하기 내게 대면 부자로세. 어릉중자(於陵仲子)는 주렸으나 오얏이나 얻어먹고 소중랑(蘇中郞)은 굶을 적에 방석 털을 삼켰으니 오얏을 어디서 보며 방석이 어디 있나. 선산 해(害)로 이러한가 파묘나 하자 하되 종손이 말릴테요 귀신이 저희(沮戱)한가 점이나 하자 한들 쌀 한 줌이 없었으니 복채를 낼 수 있나. 애고애고 설운지고 기한이 이러하니 불고염치(不顧廉恥)가 저절로 되네. 여보시오 아기 압시, 형님 댁에 건너가서 전곡간에 얻어다가 굶은 자식을 살려냅세."
흥보가 걱정하여,
"형님 댁에 건너갓 애긍히 사정하여 돈이되나 쌀이 되나 주시면 좋거니와 어려운 그 성정에 만일 아니 주시옵고 호령만 하시오면 근래 같은 세상 인심에 형님이 실덕될 터이니 안가는 수가 옳으이"
"주시고 안 주시기 천부에 계시오니 청하다가 못되면 한이나 없을 테니 수인사(修人事) 대천명(待天命)에 길을 두고 산으로 갈까 되든지 안 되든지 허사 삼아 가 보시오."
흥보가 하릴없어 형의집에 건너갈 제,의관을 한참 차려 모자 터진 헌 갓에다 철대를 술로 감아 노갓끈 달아쓰고 편자는 좀이 먹고 앞춤에 구멍이 중중, 관자 떨어진 헌 망건을 물렛줄로 얽어 쓰고 깃만 남은 베 중치막을 열두 도막 이은 술띠로 시장찮게 눌러 매고 헐고 헌 고의 적삼에 살점이 울긋불긋, 목만 남은 길버선에 짚대님이 별자로다. 구멍뚫린 나막신을
두 발에 잘잘 끌고 똑 얻어 올 걸로 큼직한 오쟁이를 평양 가는 어떤이 모양으로 관뼈 위에 짊어지고 벌벌 떨며 지나갈 제, 저 혼자 돌탄( 嘆)하여,
"아무리 생각하나 되리란 말 아니 난다. 모진 목숨 아니 죽고 이 고생을 하는구나."
형의 문전에 당도하니 그새 성세(聲勢)더 늘어서 가사(家舍)가 장히 웅장하다. 삼십여 칸 줄행랑을 일자로 지었는데 한 가운데 솟을대문 표연히 날아갈 듯. 대문 안에 중문이요 중문 안에 벽문이라 거장한 종놈들이 삼삼오오 짝을 지어 쇠털 벙거지 청창(靑 )옷에 문문에 수직타가 그 중에 늙은 종은 흥보를 아는구나. 깜짝 놀라 절을 하며 손을 잡고 낙루하며,
"서방님 어디 가셔 저 경상이 웬일이요. 수직방에 들어앉아 어한(禦寒)조금 하옵시다."
방으로 들어가서 담배를 붙여 주며,
"서방님이 저리 될 제 아씨야 오죽하며 그새에 아기는 몇 분이나 더 낳으시고 어찌하여 저꼴이오. 서방님이 나가실 제 우리들 공론한 말이 군자같은 그 심덕에 어디 가면 못 살것나
암데 가도 부자 되지 그럴 줄만 알았더니 세상이 공도(公道)없소."
끌끌 혀를 차며 화로의 불을 뒤져 가까이 놓아주니 흥보가 불 쬐고 눈물을 흘리면서 목맺힌 소리로 ,
"복 없으면 할 수없네. 아들은 스물다섯, 아씨야 말할게 있나 나 차리고 온 의복은 게다 대면 장갓길. 이 식구 스물일곱 똑 죽게 되었기에 형님전에 고간하여 얻어 가지 왔네마는 문안 일향하옵시고 성정 조금 풀리셨나?"
"문안이사 그 앞에가 무슨 병이 얼른하며 좀체 귀신이 꼼짝할까 일생 태평하시옵고 성정 말씀이야 , 서방님 계실 제와 장리(長利)나 더 독하오 두 말씀 할 것 있소. 이번 제사때에 음식장만 아니하고 대전(代錢)으로 놓았다가 도로 쏟아 내옵는데 지난달 대감 제사에 놓았던 돈 한 푼이 제상 밑에 빠졌던지 몇 사람이 죽을 뻔 , 이번은 의사가 또 생겨 싸돈으로 아니 놓고 꿰미채 놓았습죠."
흥보가 방에 안장 담배 먹고 불 쬐니 몸이 조금 녹았다가 이 말을 들어보니 등골이 썬득썬득 찬물을 끼얹고 가슴이 두근두근 쥐덫이 내려진 듯하고 머리끝이 꼿꼿하여 하늘로 치솟은 듯 온 몸을 벌벌 떨면서 하는 말이,
"저기 들어가지 말고 바로 가는 수가 옳지. 이럴 줄 아는 고로 아예 아니 오쟀더니 아씨에
못 견디어 부득이 왔네그려."
그 종이 하는말이,
"이 추위에 저 꼴하고 예까지 왔삽다가 못 얻으면 그만이지 무슨 탈이 있으리까. 어서 들어가 보시오."
"전일에 계시던 방에 그저 계신가?"
"아니오 그 방 옆에 화계(花階)를 꾸며 놓고 화계 앞 굽은 길에 방석이 깔렸으니 그리 휘돌아 가면 외밀이 쌍창을 열고 화류(樺榴)틀 완자영창(卍字映窓) 양편체경 붙인 창에 비슥이 누워 계시오다."
" 함께 가서 가르치소."
"아니요 못하지요. 이런 위태한 일 만일 아차 하게 되면 나더러 데려왔다 둘이 다 탈이오 니 혼자 들어가 보시오."
흥보가 하릴없어 이를 꽉 아드득 물고 팔짱을 되게 끼고 죽을 판 살 판으로 가만가만 자주 걸어 초당앞을 당도하니 과연 놀보가 영창문을 반쯤 열고 잘돈피 두루마기 우단 왜단은 무겁다고 양색 단의를 하고 청모관(靑茅冠)비껴쓰고 십상 백통 오동수복(烏銅壽福) 부산장인 맞춤대에 팔장생 별각죽(別刻竹)을 기장 길게 맞추어서 양초(洋草)피워 입에 물고 안석에 비스듬히 누었구나.
흥보가 아주 죽기로 자처하고 툇마루에 올라서서 곡진히 절을 하고 떨며 유무를 드려,
"떠나온 지 적년(積年)이니 기체 안녕 하옵신지."
놀보가 한 손으로 안석을 잡고 배 앓는 말 머리들 듯 비슥이 들어본다. 한어미 배로 나와 함께 커서 장가들고 자식 낳고 함께 살다 쫓아낸 동생이니 아무리 오래되고 형용이 변했던들 모를 리가 있겄나만, 우애하는 사람이라 아주 모르는 체하여
"뉘신지요."
흥보는 정말 모르고 묻는 줄 알고 갔던 연조(年條)까지 고하여
"갑술년에 나간 흥보요."
놀보가 무수히 되씹으며 의심하여,
"흥보 흥보 일년 새경 먼저 받고 모 심을 때 도망한 놈 그놈은 황보렸다. 쟁기질 보냈더니 소 가지고 도망한 놈 그 놈은 숭보렸다. 흥보 흥보 암만 해도 기억치 못하겄다."
흥보가 의사 있는 사람이면 수작이 이러하니 무슨 일이 되겄느냐 썩 일어서서 나왔으면 아무 탈이 없을 것을 저 농판 숫한 마음에 참 모르고 그러하니 자세히 일러주면 무엇을 줄 줄 알고 본사를 다 고하여,
"동부동모 친형제로 이름자 항렬하여 형님 함자 놀보자 아우 이름 흥보라 하온줄을 그다지 잊으셨소."
놀보가 생각하니 다시 의뭉을 떨자 한들 흥보의 하는 말이 밤송이 까놓듯 하였으니 의뭉집이 없었구나. 맞설 밖에 수 없거든,
"그래서 동부동모나 이부이모나 친형제나 때린 형제나 어찌 왔는고?"
운판 미련키는 흥보 같은 사람 없어 얻으러 왔단 말을 그 말 끝에 할 것이랴. 엔간한 제 구변에 놀보 감동시킬 줄로 목소리 섧게 하고 눈물을 훌쩍이며 고픈 배 틀어쥐고 애긍히 빌어 본다.
"형님 나를 내보낸 건 미워함이 아니오라 형님 덕에 유의유식 사람 될 수 없었으니 각 살이 고생하면 행여나 사람될까 생각하여 하였으니 그 뜻 어찌 모르리까." 놀보가 저 추는 말은 장히 좋아하는 사람이라 그 말은 썩 대답하여,
"아무렴."
"형님 댁을 떠날 때 부부 손목 서로 잡고 언약을 하옵기를 밤낮으로 놀지말고 착실히 품을 팔아 돈 관이나 모으거든 흰떡치고 찰떡 치고 연계(軟鷄)삶아 위에 얹어 내 등에 짊어지고 찹쌀 청주 웃국 질러 병에 넣어 자네가 들고 형님 댁에 둘이 가서 형님 부처 잡숫는 것 기어이 보고 오세."
놀보가 음식 말을 듣더니 침을 삼키며 추어,
"그렇지."
"단단 약속하였더니 어찌 그리 무복하여 밤낮으로 벌려 해도 돈 한 푼을 못 모으고 원찮은 자식들은 아들이 스물다섯."
놀보가 뒤로 물러앉으며 군소리로,
"박살할 놈 그 노릇을 해도 밤이면 대고 파니 다른 일 할 틈 있어야지 계집년 생긴 것이 눈이 벌써 음녀거든."
"식구가 이러하니 아무런들 할 수 있소 빌어도 많이 먹으니 다시는 빌 데 없고 굶은 지도 원 오래니 더 굶으면 죽겄으니 예 형님전에 왔사오니 전곡간에 조금 주면 스물일곱 죽는 못숨 여상(呂尙)의 일단사(一簞食)요 학철( 轍)의 일두수(一斗水)니 적선을 하옵소서."
두손을 비비면서 꿇엎디어 섧게 우니 놀보가 생각한즉 저놈의 쪼된법이 빌어먹기 투가 나서 달래서는 안갈테요 주어서는 또 올테니 죽으면 굶어죽지 맞아죽을 생각을 없게 하는 수가 옳다 하고 부잣집 바람벽에 도적 방비하려 하고 철퇴 철편 마상도며 단단한 몽둥이를 오죽 많이 걸었겄나. 그 중에 단단하고 손잡이 좋은 몽둥이 하나를 내려 손에 들고 엎드려 우는 볼기짝을 에후루쳐 딱 때리고 추상같이 호령한다.
"하늘이 사람 낼제 정한 분복 각기 있어 잘난 놈은 부자 되고 못난 놈은 가난하니 내가 이리 잘살기 네 복을 빼앗느냐 뉘게 다가 떼쓰자고 이 흉년에 전곡 주소 목 안으로 소리하며 눈물 방울 흩뿌리면 네 잔꾀에 내 속으랴. 조금 지체 하다가는 잔뼈 찾지 못할 테니 속속 출문 어서 가라."
몽둥이를 또 들메니 불쌍한 저 흥보가 제 형 성정을 아는구나 눈물 씻고 절을 하며,
"과연 잘못하였으니 너무 진념 마옵시고 평안히 계십소서. 동생은 가옵니다."
하직하고 나올적에, 남들은 놀보 가속이 거렁이 에 밥 싸주네 밀가루 퍼서 주고 공알답인 한다 해도 모두 거짓말. 이년의 마음씨는 놀보보다 더 독하여 낭자하고 긴 담뱃대를 물고 안 중문에 비껴 서서 시종을 구경타가 흥보가 나간 것을 보고 제 서방을 나무라,
"저러한 떼군놈을 단단히 쳐줘야 다시는 안올텐제 어떻게 때렸길래 여상(如常)으로 걸어가네. 계집은 잘 잡죄지. 다리칼 공알주먹 하면서도 동생은 우애하여 사정을 보았구만."
흥보가 형의집에 전곡타러 왔다가 몽둥이만 잔뜩 타고 비틀걸음으로 걸어간다.
이때에 흥보 아내는, 여러날 굶은 가장을 형의 집에 보내고서 전곡간에 얻어 오면 굶은 자식 먹일 걸로 여(閭)에 나서 기다린다. 스물다섯 되는 자식 다른 사람 자식 낳듯 한 배에 하나 낳아 삼사 세 된 연후에 낳고 낳고 했어야 사십이 못다 되어 그리 많이 낳겄느냐. 한 해에 한 배씩 한 배에 두셋씩 대고 낳아 놓았구나. 그래도 아이들은 칠칠 일이 지나면은 안기도 하여보고 백 일이 지나면은 업기도 해보고 첫돌이 지나면 손 잡고 걸어보고 삼사 세가 되면 의복 입고 다녔어야 다리에 골이 오르고 몸이 활발할 터인데 이 집 자식 기르는 법은 덕석을 결때에 세 줄로 구멍을 내어 한 줄에 열 구멍씩 첫 구멍은 조그맣고 차차 구멍이 커간다. 한 배에 낳은 자식 둘이 되나 셋이 되나 앉혀 보아 앉으면은 첫 구멍에 목을 넣고 하루 몇 때씩을 암죽만 떠 넣으면 불쌍한 이것들이 울어도 앉아 울고 자도 앉아 자고 똥 오줌이 마려우면 덕석 쓴 채 앉아 누워 세상에 난 연후에 실오라기 하나라도 몸에 걸쳐 본 일 없고 한 번도 문턱 밖에 발 디뎌 본 일 없고 다른 사람 얼굴 보아 소리 들어본 일 없고 그저 앉아 큰 것이라 때묻은 여윈 낯이 터럭이 거칠거칠. 동지섣달 강아지가 아궁에서 자고 난 듯 덕석 쓴 채 새고나면 빼빼 마른 몸뚱이가 대강이를 엮어 놓은 듯 못 먹고 앉아 크니 원 무르게 되어서 큰 놈들은 스무 살 씩 작은 놈들은 열칠팔 세, 남의 자식 같으면 농사하네 나무하네 한창들 벌이를 하련마는 원 늦되어서 부르는게 어메 아비 음식 이름, 아는 것이 밥뿐이로구나. 다른 음식 알려 한들 세상에 난 연후에 먹기는 고사하고 보거나 듣거나 하였어야지. 밥 갖다 줄 때가 조금만 지나면 뭇 놈이 그저 각청으로 ,
"어메 밥 어메 밥"
하는 소리 비 오렬 제 방죽 개구리 소리도 같고 석양천에 떼매미 소리도 같고 언제라도
밥 들고 들어가도록,
"어메 밥 어메 밥"
하는구나.
이날도 흥보 댁이 여러 자식놈들의 어메 밥 소리에 정신을 못 차려서 벗은 발에 두 손을 불고 이문(里門)밖에 나서보니 흥보가 방장 건너올 제, 지지도 메도 아니하고 빈손 치고 정신 없이 비틀비틀 오는 거동 조창(漕創)배 격졸로서 일천 석 실은 곡식 풍랑에 파선하고 십차 형신(刑訊) 삼 년 체수(滯囚)의 고생을 걲고 오는 모양. 다섯 바리 고마 마부 관가 봉물을 싣고 갔다 백 냥짜리 말 죽이고 주막 주막 빌어먹어 빈 채 들고 오는 모양 정색이 말 아
니어 흥보 댁이 깜짝 놀라 손목을 잡으면서 ,
"어찌 그리 지체하고 어찌 그리 심란한가. 오죽 시장하며 오죽 춥겄는가."
자세히 살펴보니 쑥 들어간 두 눈가에 눈물이 그렁그렁. 간신히 살 가리운 고의 뒤폭 툭 미어져 빳빳 마른 볼기짝에 몽둥이 맞은 자리 구렁이가 감겼는 듯. 흥보 아내 대경하여,
"애겨, 이게 웬일인가 저 몹쓸 독한 사람, 굶은 사람을 쳤네 그려."
가슴 탕탕 발 구르니 흥보가 달래어,
"자네 그게 웬 소린가 형님 댁에 건너가니 형님이 반기시고 좋은 술 더운 밥을 착실히 먹인 후에 쌀 닷 말 돈 석냥을 썩 내어 주시기에 쌀 속에 돈을 넣어 오쟁이에 묶어지고 한출첨배(汗出沾背)오노라니 이 너머 깊은 골짜기에 설금찬 두 사람이 몽둥이 갈라 쥐고 솔밭에서 왈칵 나와 볼기짝을 때리면서, '이놈, 목숨이 크냐 재물이 크냐.' 한 번 호통에 정신 놓아 졌던 것 벗어 주고 겨우 살아 오느라고 서러워서 울었으니 형님은 원망 마소."
흥보 댁이 아니 믿고 손뼉을 딱딱치며,
"그래도 내가 알고 저래도 내가 아네 몹쓸래라 몹쓸래라 시아주비도 몹쓸래라 하나있는 그 동생을 못 본 지가 몇 해런고. 오늘같이 추운 아침 형 보자고 간 동생의 관망을 보거드면 오려논에 새 볼 터요 의복을 보거드면 구럭 속에 황육(黃肉)든 듯, 얼굴은 부황채색(浮黃菜色) 말소리 기진 함함( ) 여러 해 굶은 줄과 조금하면 죽을 정색 번연히 알 터인데 구완하긴 고사하고 저리 몹시 때렸으니 사람이 할 일인가. 애고애고 설운지고 옛사람의 어우 생각 구름 보면 낮졸은 수유(茱萸)꽃 꺾어 꽂고 소일탄(少一歎)을 한다는데 우리 집 시아주비는 어찌 그리 영독한고 남의 원망 쓸데 없네 모두 다 내 죄로세 국난에 사양상(思良相) 가빈에 사현처(思賢妻)라. 내 설마 음전하면 불쌍한 우리 가장 못 먹이고 못 입힐까 가장은 처복 없어 나 까닭에 굶거니와 철 모르는 자식 정경 더구나 못 보겠네 짐승은 미물이나 입으로 밥을 물어 자식을 먹여 주며 추우면 날개 벌려 자식을 덮는 것을 나는 어찌 사람으로 수다한 자식들을 굶기고 벗기는고. 각결(却缺)의 아내 같이 밭이나 매어 볼가 양홍(梁鴻)의 아내 같이 물이나 길어볼까 직녀성에 걸교(乞巧)하여 침자품을 팔아 볼까 탁문군의 본을 받아 술장수를 하여 볼까."
흥보가 깜짝 놀라,
"자네 그게 웬 소린가. 죽었으면 그저 죽지 자네 시켜 술 팔겄나 가사는 임장(任長)이니 내 나서서 품을 팔 터이니 자네는 집에 있어 채전이나 가꾸고 자식들을 길러 내소."
흥보가 품을 팔 제, 매우 부지런히 서둘러 상평하평(上平下平)김매기 원산근산 시초베기 먹고 닷 돈 받고 장서두리 십리에 돈 반 승교 메기 신산(新産)석어(石漁) 밤짐 지기 시 매긴 공사 급주 가기 방 뜯는데 조역꾼 담 쌓는데 자갈 줍기 봉산 가서 모내기 품팔기 대구령에 약태전 초상 난 집 부고 전키 출상할 제 명정(銘旌)들기 공관되면 상직하기 대장간에 풀무불기 멋있는 기생 아씨 타관애부(他官愛夫) 편지 전키 부잣집 어린 신랑 장가 들 제 안부 (雁夫)서기 들병장수 술짐 지기 초라니 판에 무투 놓기 아무리 벌어도 시골서는 할 수 없다. 서울로 올라가서 군치리집 종노릇 하다가 소주 가마 눌려 놓고 뺨 맞고 쫓겨 와서 매품 팔러 병영에 갔다가는 배교 밀리어서 태장 한 개 못 맞고서 빈 손 쥐고 돌아오니 흥보 아내가 품을 판다. 오뉴월 밭매기와 구시월 김장하기 한 말 받고 벼 훑기와 입만 먹고 방아찧기 삼 삶기 보 막기와 물레질 베짜기와 머슴의 헌 옷 짓기 상고에 빨래하기 혼장가에 진일 하기
채소밭에 오줌 주기 소주 고고 장 달이기 물방아에 쌀 까불기 밀 맷돌 갈 제 집어 넣기 보리 갈 제 망웃 놓기 못자리 때 망초 뜯기 아이 낳고 첫국밥을 제 손으로 해 먹고 운기(運氣)를 방통(放通)하되 절구질로 땀을 내니 한 때도 쉬지 않고 밤낮으로 벌어도 늘 굶는구나. 항보 댁이 할 수 없어 죽기로 자처하고 복을 못 탄 신세 자탄을 진양조로 섧게 울 제, 맘 있는 사람들은 귀에서도 눈물 난다.
"애고 애고 설운지고 복이라 하는 것을 어쩌면 잘 타는고. 북두칠성님이 마련하시는가 제왕 산신님이 점지하신가. 생년 생월 생일 생시 팔자에 매였눈가. 승금상수(乘金相水) 혈토인목(穴土印木) 묘쓰기에 매였는고 이목구비 오악으로 생기기에 매였는가. 적선행인(積善行人) 은악앙선(隱惡仰善) 마음씨에 매였는가. 어찌하면 잘사는지 세상에 난 연후에 불의행사 아니하고 밤낮으로 벌어도 삼순구식(三旬九食) 할 수 없고 일년 사철 헌 옷이라. 내 몸은 고사하고 가장은 부황 나고 자식들은 아사지경(餓死之境) 사람 차마 못보겠네 차라리 자결하여 이런 꼴 안 보고저 애고애고 설운지고."
치마끈으로 목을 매니 흥보가 울며 말려,
"여보소 아기 어멈 이것이 웬일인가. 자네가 살았어도 내 신세 이러할 제 자네가 죽으면 내 신세는 어떠하고 자식들이 어찌 될까. 부인의 백년신세는 가장에게 매였는데 박복한 나를 얻어 이 고생을 하게 하니 내가 먼저 죽으려네."
허리띠로 목을 매니 흥보 아내 겁을 내어 가장 손목 붙들고서 둘이 서로 통곡하니 아주 초상 난 집 되었구나. 이때에 중 하나가 촌중으로 지나는데, 행색을 알 수 없어 연년 묵은 중 헐디헌 중 초의불침 부불선(草衣不侵復不線) 양이수견미복면(兩耳垂肩眉覆面) 다 떨어진 청올치 송낙 이리총총 저리 총총 헝겊으로 지은 것을 흠뻑 눌러 쓰고 누덕누덕 헌 베 장삼 율무 염주를 목에 걸고 한 손에는 절로 굽은 철쭉장 한 손에는 다 깨진 목탁을 들고 동냥을 얻으면은 무엇에 받아 갈지 목기짝 바랑 등물 하나도 안 가지고 개미가 안 밟히게 가만가만 가려 디디며 촌중으로 들어올 제 개가 쾅쾅 짖고 나면 두 손을 합장하며 ,
"나무아미타불."
사람이 말 물으면 허리를 굽히면서
"나무아미타불."
이집 저집 다 지나고 흥보 문전에 당도터니 양구히 주저하여 울음소리 한참 듣다 목탁을 두드리며 목소리 내어 하는 말이,
"거룩하신 댁 문전에 걸승 하나 왔사오니 동냥 조금 주옵소서."
목탁을 연해 치니 흥보가 눈물 씻고 애긍히 대답하되,
"굶은 지 여러 날에 전곡이 없사오니 아무리 섭섭하나 다른 데나 가보시오."
그 중이 대답하되,
"주인의 처분이니 그저는 가려니와 통곡은 웬일이오."
"자식은 여럿인데 가세가 철빈하여 굶다굶다 못하여서 가련한 부부가 목숨 먼저 죽기 다투어서 서로 잡고 우나이다."
저 승이 탄식하여,
"어허 신세 가련하오. 부귀가 임자없어 적선하면 오나니 무지한 중의 말을 만일 듣고 믿을 테면, 집터 하나 가르칠게 소승 뒤를 따르시오."
흥보가 대희하여 천번 만번 치하하며 대사 뒤를 따라가니 배산임수(背山臨水) 개국하고 무림수죽(茂林修竹) 두른 곳에 집터를 재혈(栽穴)할 제 명당수법(名堂手法)이 완연하다.
"감계룡(坎癸龍) 간좌곤향(艮坐坤向) 탐랑득거문파(貪狼得巨門破)며 반월형 일자안(一字案)
에 문필봉 창고사(倉庫砂)가 죄우에 높았으니 이 터에 집을 짓고 안빈하고 지내오면 가세가 속발하여 도주(陶朱) 의돈( 頓)에 비길 테요 자손이 영귀하여 만세 유전하오리다."
정간에 입주 자리 막대기 넷 박아주고 한 두 걸음 나가더니 인홀불견(人忽不見)이라. 도승인 줄 짐작하고 있던 집 헐어다가 그 자리에 의지하고 간신히 지낼 적에 백설한풍 깊은 겨울 벌거벗고 텅 빈 배로 아니 죽고 살아나서 정월 이월 해빙하니 산수경개 장히 좋다. 유색황금눈(柳色黃金嫩)에 꾀꼬리 노래하고 이화백설향(梨花白雪香)에 나비가 춤을 춘다. 유작유소(維鵲有巢) 짓는 재주 내 집보다 단단하고 산량자치(山梁雌雉) 유는 소리 너는 때를 얻었도다. 집은 방장 새려는데 소쩍새는 비오비오. 쌀 한 줌이 없는 것을 저 새 소리 '솥 적다' 포곡(布穀)은 운다마는 논이 있어야 농사하지. 대승(戴勝)아 날지마라 누에 쳐야 뽕 따겄다. 배가 저리 고프거든 이것 먹소 쑥국새 목이 저리 갈하거든 술을 줄까 제호조( 鳥) 먹을 것이 없으니 계견을 기르겄나 살해를 아니하니 미록( 鹿)이 벗이로다. 삼월동풍 방춘화시(方春和詩) 비금주수(飛禽走獸) 즐길적에 강남에서 돌아온 제비 비입심상 백성가(飛入尋常百姓家)라 흥보의 움막에 날아드니 흥보가 좋아라고 제비보고 치하한다.
"소박한 세상 인심 부귀를 추세하여 적막한 이 산중에 찾아올 이 없건마는 연불부빈가(燕不負貧家)라 주란화각(朱蘭畵閣)은 다 버리고 말만한 이내 집을 찾아오니 반갑도다."
저 제비 거동보소 그래도 성조(成造)라고 남남지성( 之聲) 하례하고 좋은 진흙 물어다가 처마 안에 집을 짓고 웅비종자(雄飛從雌) 힐지항지(署之 之) 알을 낳아 새끼 까서 밥 물어다 먹이면서 자모구구(子母 ) 즐기더니 천만 의외 대망(大 )이가 제비 집에 들었거늘 흥보가 깜짝 놀라 정설하며 쫓는구나.
"무상한 저 대망아 너 먹을 것 많구나 청초지당(靑草池塘)에 처처와(處處蛙) 춘면불각 처처조(春眠不覺處處鳥)며 허다한 것 다 버리고 구태여 내 집에 와서 제비 새끼 잡아먹노. 한 고조 과대택(過大澤)에 적소검(赤小劒) 드는 칼로 네 허리를 베고지고 남악사(南嶽詞)에 원정하여 신병을 몰아다가 네 큰 목을 자르고저."
급급히 쫓고 보니 제비 새끼 여섯에서 다섯 먹고 하나 남아 혈혈히 아니 죽고 날기를 공부타가 대발틈에 발이 빠져 거의 죽게 되었거늘 흥보가 보고 대경하여 제비 새끼를 손에 놓고 무한히 탄식한다.
"가긍한 네 목숨 대망에게 안 죽기에 완명으로 알았더니 절각지환(折脚之患)이 웬일이냐 전생의 죄악이냐 잠시의 횡액이냐 삼백 우족(羽族) 많은 중에 죄 없는게 제비로다. 네 알이 아니던들 은나라가 없으렷다. 네 턱이 아니면은 만리봉후(萬里封侯) 어찌하리 백곡에 해가 없고 사람을 별로 따라 공량락연니(空梁落燕泥) 문장의 수단이요 연어조량만(燕語雕粱晩)은 정부의 수심이라. 네 경색이 가긍하니 기어이 살리리라."
칠산 조기 껍질 벗겨 두 다리를 돌돌 말고 오색 당사로 찬찬 감아 제 집에 넣었더니 십여일 지난 후에 양각이 완고하여 비거비래(飛去飛來) 노는 거동 보기가 장히 좋다. 구만 리 장공에 높이높이 날아 보고 일대 장천 맑은 물을 배로 씩 스쳐 보고 평판한 넓은 뜰에 아장아장 걸어 보고 길게 맨 빨랫줄에 한들한들 앉아 보고 바람에 떨어진 꽃 또기또기 차도 보고 세우에 젖은 날개 슬근슬근 다듬으며 아로새긴 들보 위에 고운 말로 하례하고 해당화 그늘 속에 오락가락 놀아 보니 흥보가 좋아라고 ,집안에 있을 제는 제비하고 소일하고 나갔다 돌아오면 제비 집을 보아 다정히 지내더니 칠월유화(七月流火) 팔월환위(八月환위) 이슬이 서리 되고 금풍이 삽삽하여 수의(授衣) 구월 되어 오니 동방(洞房)에 실솔( )이 울어 깊은 수심을 자아내고 장공에 홍안성은 먼데 소식 띄워 온다. 용산에서 술 마시고 망향대(望鄕臺)에 손 보낼 제 섭섭다 우리 제비 고향 강남에 가려 하고 하직을 하는구나. 흥보가 탄식하여 ,
"사랑옵다 우리 제비 날 버리고 가려느냐 강남이 멀다 하니 며칠이면 당도할꼬. 명춘에 돌아오거든 부디 내 집 찾아 오라."
제비 자도 못 잊어서 나갔다 돌아와서 아리따운 말소리로 이별을 아끼는 듯. 흥보는 본래 서러운 사람이라 눈물보씩이나 흘리고 이별을 하였구나.
십이제국(十二諸國)에 갔던 제비 구월 그믐에 돌아와서 시월 초 하룻날 제 장수에게 현신하고 새끼 수를 점고하여 문서 치부(置簿)하는구나. 노나라에 갔던 제비 첫째로 들어가고 조선에 왔던 제비 둘째로 들어갈 제 흥보의 제비가 현신하니 장수가 묻는 말이,
"어찌 새끼 하나 까고 두 다리가 봉통졌나?"
제비가 여짜오되,
"새끼 여섯을 깠삽는데 대망이가 다 먹삽고 다만 하나 남은 것이 대발 틈에 발이 빠져 거의 죽게 되었더니 주인 흥보의 힘을 입어 간산히 갈렸으니 흥보의 어진 덕은 백골난망(白骨難忘) 되나이다."
제비 장수 분부하되,
"장령을 어기면 번번 탈이 있느니라. 금춘 이월 나갈 적에 그날이 을사일 사불원행(巳不遠行)이니 가지 마라 만류해도 고집으로 나가더니 뱀날 떠났기로 뱀환을 만났구나. 흥보 한 일 생각하니 금세의 군자로다. 보배 하나 갖다 주어 그 운혜를 갚아라. 명춘에 나갈 적에 내게 다시 고하여라."
삼동을 다 지내고 이월 초에 행발할 제 흥보가 살린 제비 장수전에 하직하니 보물 하나를 내어 주며,
"이것을 물어다가 흥보에게 신전하라."
제비가 받아 물고 조선으로 나올 적에 무인 지경 누만 리에 인가를 볼 수 있나. 춘연이 소림목(巢林木) 밤이면 나무에서 자고 날이 새면 다시 날아 삼월 삼일 원정일에 흥보 집 찾아드니.
이때에 주인 흥보 제비를 보내고서 일념으로 못 잊어서 왕왕 생각타가 삼삼일이 돌아오니 그 제비가 다시 올까 품팔러도 아니 가고 기다리고 앉았더니 반갑다 저 제비 처마 안에 날아들제 봉통이진 두 다리가 구시용(舊視容)이 완연쿠나.
"아지주지."
고운 소리로 그린 회포 말하는 듯 흥보가 좋아라고 무한히 정설한다.
"너 왔느냐 너 왔느냐 내 제비 너 왔느내 행진강남 수천리 자거자래 너 왔느냐 강남은 가려지(佳麗地)라 어찌하여 내버리고 누추한 이내 집을 허위허위 찾아왔나. 인심은 교사(巧詐)하여 한 번 가면 잊건마는 너는 어찌 신(信)이 있어 옛 주인을 찾아왔나. "
한참 이리 반길 적에 제비 입에 물었던 것을 흥보 앞에 떠 어치니 흥보가 집어 들고 제 아내를 급히 불러,
"여보소 아기 어멈, 어서와서 이것 보소. 제비가 물어 왔네."
흥보 잭이 들고 보며,
"애겨 이게 무슨 씨 아닌가."
여인네 소견이라 당찮게 대어 보아,
"그것 아마 외씨지."
"아닐세. 옛날에 소평(召平)이가 벼슬이 무섭다고 외 심어서 팔았으나 그 땅이 관중(關中)이라 강남은 부당하고 외씨가 이렇게 크겄는가."
"그러면 여지( 枝)씬가."
"아닐세 양귀비의 고운 얼굴 회색을 내려고 여지만 먹었으나 서촉(西蜀)에서 공 바치니 강남 소산 아니었고 여지씨는 우툴두툴 벌레 먹은 형상이니 옳아 그것이로구나. 약방에서는 백편두(白扁豆)라 한다던가."
"그것 강낭콩 아닌가."
"아닐세 강낭콩은 휠씬 넓고 가에 흰 테 둘렀나니."
"애겨 무슨 글자 있네."
"일 주소 어디 보세. 갚을 보(報) 은혜 은(恩) 박 포(匏) 보은포. 보은포 보은은 충청도 땅 옥천 옆에 , 그러니까 이 제비가 올 적에 공주로 노성으로 은진으로 온 것이 아니라 보은으로 옥천으로 연산으로 왔나. 여러 고을 지나오면 어찌 똑 보은 박씨를 무엇하러 물어 왔나. 보은 대추 좋다 하되, 박 좋단 말 못 들었지. 그러나저러나 강남 것이든지 보은 것이든지 저 먹을 것 아닌 것을 물어 오기 괴이하고 내 앞에다 떨치기 더욱 괴이하니 아무튼 심어 보세."
을불재종(乙不裁種) 날을 보아 대장군 안선방을 둥그렇게 깊이 파고 오줌독에 담근 신짝 여러 죽을 쟁이고서 흙과 재를 잘 버무려 단단히 심었더니 입묘(入苗)하는 것을 보니 박은 정녕 박이어든 순이 차차 뻗어 나니 산나무 가지 찍어 드문드문 손을 주어 지붕 위로 올렸더니 화풍감우(和風甘雨) 호시절에 밤낮으로 무성하여 삿갓 같은 넓은 잎이 온 집을 덮었으니 비가 와도 걱정 없고 닻줄 같은 큰 넌출이 온 집을 얽었으니 바람 불어도 걱정 없어 흥보가 벌써부터 박의 힘을 입는구나. 마디마디 핀꽃이 노인의 기상처럼 조촐하다. 박 세 통이 열었는데 처음엔 까마귀 머리만 종자만 보아(甫兒)만 화로만 장단 북통만 폐문(閉門) 북통만 밤낮으로 차차 크니 약한 집이 무너질까 흥보가 걱정하여 단단한 장목으로 박통 놓인 데마다 천장을 괴었더니 그렁저렁 상풍(霜楓) 팔월 단호절(斷壺節)이 당도하니 흥보가 저의 처와 의논을 하는구나.
"여보소 아이 어멈 이 아니 좋은 땐가. 우리 동네 사람들은 오례 잡아 서릿쌀 풋돔부 풋콩 까서 밥을 짓네 송편하네 창 앞에 대추 따고 뒤꼍에 알밤 줍고 논귀에서 붕어 잡고 두엄에 집장(醬) 띄워 먹을 것 많건마는 가련한 우리 신세 먹을 것 바이 없네. 세상에 죽는 목숨 밥 한 덩이 누가 주며 찬 부엌에 굶은 아내 조강(糟糠)인들 볼 수 있나. 철모르고 우는 자식 배를 달라 밥을 달라 무엇으로 달래 볼까. 우리는 저 박을 타서 박속은 지져 먹고 박적은 팔아다가 한 끼 구급하여 보세."
동네 도끼 얻어 들고 지붕 위로 올라가서 박꼭지는 찍었으나 내릴 수가 없다. 정월 보름에 끌었던 줄 당산 나무에 감겼거늘 그 줄을 풀어다가 박통을 동이고서 흥보는 뒷줄 잡고 처자는 잡아당겨 간신히 내려놓고 박 목수의 큰 톱 얻어 박통을 켜려는데,흥보 꼴 이러하나 속멋은담뿍 들어,
"여보소 아이 어멈 평지에 지어도 절은 절이요 성복(成服)술에도 권주가 한다네. 우리의 일년 농사 논을 한가 밭을 한가. 모 심을 제 상사 소리 밭 맬 제 메나리를 불러 볼 수 없었으니 우리는 이 박 타며 박소래나 해보세."
"무슨 노래 사설을 알아야 하지."
"묵은 사설은 때 묻으니 박 내력을 가지고서 사설 지어 메기거든 자네는 뒤만 맡소."
"그럽세."
흥보가, 톱질 소리를 메긴다.
"어기여라 톱질이야 당겨 주소 톱질이야. 성인이 풍류 질 제 금 석 사 죽 포 토 혁 목 이 박이 아니면은 팔음이 어찌 되리."
일표음(一瓢飮)을 어찌하며,소부(巢父)의 둔세고절(遁世孤節), 이 박이 아니면은, 기산괘표(箕
山掛瓢)를 어이하리."
"어기여라 톱질이야."
"군자의 말 없기는 ,무구포(無口匏)가 그 아닌가. 남화경(南華經)에 있는 박은, 대이무용(大而無用) 아깝도다."
" 어기여라 톱질이야."
"인간 대사 혼인할 제, 표배(瓢盃)로 행주(行酒)하고,강산의 시주객(施酒客)은, 거포준이상속(擧匏樽以相屬)이라."
"어기여라 톱질이야."
" 우리도 이 박 타서, 쌀도 일고 물도 떠서, 가지가지 잘 써보세."
"어기여라 톱질이야."
슬근 슬근 탁 타 놓니, 청의 입은 동자 한 쌍이, 박통 밖에 썩 나서며,
"이것이 흥보 씨 댁이요.?"
흥보가 깜짝 놀라, 뒤꼭지를 탁탁 치며,
"이런 재변(災變)을 보았나. 초나라 유자(柚子)속에, 노인이 바둑 둔다 하되, 박통 속에 동자들이, 찬만고에 처음이라. 내 이름을 어찌 알고, 무엇 하자 와 묻는지.허 참 이 노릇이, 도망케 되었나. 죽자 원 내가 흥보다. 이 사이 풀밭에 누워도, 진드기 한 마리, 붙을 데 없는 사람을, 찾아 무엇 하겄느냐."
저 동자가 소매에서, 대모(玳瑁) 쟁반을 내 놓는데,병과 접시 종이봉지, 드문드문 놓였구나. 눈 위에 높이 들어, 흥보 앞에 드리면서, 절하고 여짜오되,
"삼신산 열위(列位) 선관이, 모여 앉아 공론 하되, 흥보 씨의 지극덕화(至極德化),금수 까지 미쳤으니, 그저 있지 못하리라. 수종 약을 보냈으니, 백옥병에 넣은 것은, 죽은 사람 혼을 불러, 돌아오는 환혼주(還魂酒),밀화 접시에 놓은 것은, 소경이 먹으면, 눈이 밝는 개안주(開眼酒), 호박 접시에 담은 것은, 벙어리가 먹으면, 말 잘하는 개언초(開言草), 산호 접시에 담은 것은, 귀먹은 이가 먹으면, 귀 열리는 벽이롱(闢耳聾), 설화지(雪花紙)로 묶은 것은, 아니 죽는 불사약(不死藥), 금화지로 묶은 것은, 아니 늙는 불로초(不老草),가지가지 있삽는데, 약 이름과 쓰는 데를, 그 옆에 썼사오니, 그리 알아 쓰옵소서. 가다가 동정(洞庭) 용궁에, 전할 편지 있삽기로, 총총히 갑니다."
사흘 굶은 흥보가, 헛인사를 한 번 하여,
"저러하신 선동네가, 나 같은 사람을 보려고, 그 먼데서 오셨다가, 아무리 염반(鹽飯)이나, 점심 요기해야지."
동자 웃고 대답하되,
"세상 사람이 아니기로, 시장하면 구전단, 목마르면 감로수, 연화식(煙火食)을 못 하오니, 염려치 마옵소서."
인홀불견이라.
흥보가 의사를 내어, 허소(虛疎)한 집구석에, 선약을 혹 잃을까, 조그마한 오쟁이에 모두 넣어 꽉 동여서, 움막방 들보 위에, 씻나락 모양으로, 단단히 얹었구나. 동자를 보낸 후에,
"어허 괴이하다."
박적 속을 또 굽어보니, 목물(木物)들이 놓였는데, 하나는 반닫이 농만하고 하나는 벼룻집만한데, 주홍 외챌(倭漆)을 곱게 하고, 용 거북 자물쇠를, 단단히 채고서, 초록 당사 벌매듭에, 열쇠 달아 옆에 걸고, 둘 다 뚜껑 위에, 황금 정자가 쓰였는데, '박흥보 개탁(開坼)' 이라.
흥보가 보고 장담하여,
"내가 비록 산중에 사나, 이름은 멀리 났지. 봉래산 선동들도, 내 이름을 부르더니, 목물 위에 썼구나."
돌 다 열고 보니, 하나는 쌀이 가득, 하나는 돈이 가득, 부어 내고 되고 세니, 동서반(東西班) 생성수(生成數)로, 쌀 은 서 말 여덟되, 돈은 넉 냥 아홉돈, 온 집안이 대희하여,그 쌀로 밥을 짓고, 그 돈으로 반찬 사서 ,바로 먹기로 드는데, 흥보의 마누라가, 살림살이 약게 하나,양식 두고 먹었느냐. 부자 아씨 같으면, 식구가 스물 일곱, 모두 칠 홉을 낼지라도, 이필이 십사 칠칠은 사십구,말 여덟 되 구 홉이니, 채워 두 말 하였으면, 오죽 푼푼하련마는, 평
생에 양식이 부족하여, 생긴 대로 다 먹는다. 부부가 품판 삯을, 양식으로 받으나, 돈으로 받아 오나, 한 돈어치 팔아 오나, 두 돈어치 서 돈어치, 사온대로 하여도, 모자라만 보았기로,
서 말 여덟 되를, 생긴 대로 다할 적에, 솥이 적어 할 수 있나. 쇠죽솥 그 중 큰 집을, 찾아가서 밥을 짓고, 넉냥 아홉 돈은, 쇠고기를 모두 사서, 반찬을 하려 할 제, 식칼 도마가 어디있나.
여러 자식놈들, 고기를 붙들고서, 낫으로 자를 적에, 고기 결을 알 수 있나. 가로 잘라 놓은 모양, 연목(椽木)머리 잘라 놓은 듯, 기둥 밑 잘라 놓은 듯, 건건이와 양념 등물, 별로 수가 많잖아,소금 흩고 맹물 쳐서, 토정(土鼎)에 삶아 내고, 그릇 없어 밥 푸겄나, 씻도 않은 헌 쇠죽통에, 밥 두 통을 퍼다 놓고, 숟가락은 근본에 없어, 있더라도 찾겄는가, 적연(的然) 물기 안 한 손으로 질통 가에 늘어앉아, 서로 주워먹을 적에, 이 여러 자식들이, 노상 밥이 부족하여, 서로 뺏어 먹었구나. 그리 많은 밥이로되, 큰놈 입에 넣는 것을, 작은 놈이 뺏어 훔쳐, 큰놈도 빼앗기고, 새로 지어 먹었으면, 싸움 아니하련마는 ,악을 쓰며 주먹 쥐어, 작은 놈 볼때기를, 이 빠지게 찧으면서 개 아들놈 쇠 아들놈, 밥통이 엎어지고, 살벌(殺伐)이 일어나되, 무지한 저 흥보는, 밥먹기에 윤기(倫紀) 잊어, 자식 몇 놈이 뒈져도, 살릴 생각은 아예 않고, 그 뜨거운 밥이로되, 두 손으로 서로 쥐어, 세죽(細竹) 방울 놀리는 양, 크나큰 밥덩이가 손에서 떨어지면, 목구멍을 바로 넘어, 턱도 별로 안 놀리고, 어깨춤 눈 번득여, 거의 한 말어치를, 처치한 연후에,왼편 팔 땅에 짚고, 두 다리 쭉 뻗치고, 오른편 손목으로,뱃가죽을 문지르며, 밥더러 농담하기로 들어,
"여봐라 밥아, 내가 하도 시장키에, 너를 조금 먹었으나, 네 소위를 생각하면, 대면할 것 아니지야. 세상 인심 간사하여, 추세(趨勢)를 한다 한들, 너같이 심히 하랴. 세도집과 부잣집만, 기어이 찾아가서, 먹다먹다 못다 먹어, 개를 주며 돝을 주며, 학 두루미 때거우를, 모두 다 먹이고도, 그래도 많이 남아, 쉬네 썩네 하는 것을 나와 무슨 원수 있어, 사흘 나흘 예상 굶어, 뱃가죽이 등에 붙고 갈빗대가 따로 나서 두 눈이 캄캄하고,두 귀가 먹먹하여, 누웠다 일어나면, 정신이 어질어질, 앉았다 일어서면, 다리가 벌렁벌렁, 말라 죽게 되었으되, 찾는 일 전혀 없고, 냄새도 안 맡히니, 그럴 도리가 있단 말인가. 예라, 이 괴이한 것, 그런 법이 없느니라."
아주 한참 준책(峻責)터니 ,도로 슬쩍 달래어,
"내가 그런다고 노여워 안 오려느냐. 어여뻐서 한 말이지, 미워 한 말 아니로다. 친고(親故)가 조만(早晩) 없어,정지후박(情地厚薄) 매였으니, 하상견지 만야(何相見之晩也)오, 원불상리(願不相離) 지내보세. 애겨애겨 내 밥이야, 옥을 주고 바꿀쏘냐, 금을 주고 바꿀쏘냐. 애겨애겨 내 밥이야."
밥이 더럭더럭 오도록, 새 정을 붙이려고, 이런 야단이 없구나.
밥하고 수작할 제, 흥보의 열일곱째 아들놈이, 장난을 하느라고 쌀궤를 열어보고,깜짝 놀라 아비를 불러,
"애겨 아비 이것 보오. 이 궤 속에 쌀 또 있네."
흥보가 의심하여,
"그 말이 웬 말이냐 돈 든 궤를 또 보아라."
"애겨 돈 또 들었네."
"어 그것 맹랑하다."
쌀과 돈을 또 부어 내고, 덮었다 열고 보면, 돈과 쌀이 도로 가득가득.
"어허 그것 장히 좋다. 그 많은 자식들이, 팔갈아 달려들어, 종일을 부어 내니, 원 전곡이 가량(假量)없다. 자식들은 그 노릇 하라 하고, 뱃심이 든든할 제, 둘째 통을 또 켜는데, 장 굶던 흥보 신세, 뜻밖에 밥 보더니, 아주 밥에 골몰하여, 톱질하던 사설을, 밥으로 메기겄다.
"어기여라 톱질이야, 좋을씨고 좋을씨고. 밥 먹으니 좋을씨고. 수인씨(燧人氏)의 교인화식(敎人火食), 날 위하여 가르쳤네."
어기여라 톱질이야."
"강구노인(康衢老人) 함포고복(含哺鼓腹),나만치나 먹었던가. 엽피남표( 彼南묘) 전준지희(田畯至喜),나만치나 즐기던가.."
"어기여차 톱질이야."
"만고에 영웅들도 밥 없으면 살 수 있나. 오자서 도망할 제, 오시(吳市)에 걸식하고, 한신이 궁곤할 제, 표모(漂母)에게 기식(寄食)이라."
"어기여라 톱질이야."
"진 문공 전간득식(田間得食), 한 광무(光武) 호타맥반( 麥飯), 중한 것이 밥뿐이라."
"어기여라 톱질이야."
"이 박통을 또 타거든, 은금보패(銀金寶貝) 내사 싫의, 더럭더럭 밥 나오소."
"어기여라 톱질이야."
슬근 슬근 탁 타 놓으니, 온갖 보물이 다 나온다.
비단으로 볼작시면, 천문일사황금방(天門日射黃金 )에, 번뜻 돋아 일광단, 재도중천만국명(裳到中天萬國明) 산하영자(山下影子) 월광단, 평치수토(平治水土) 하우공덕(夏禹功德)구주토산(九州土産) 공단, 금성옥진(金聲玉振) 높은 도덕, 공부자의 대단, 진시황이 안 무섭네,입이 바른 모초단, 남궁연(南宮宴) 대풍가(大風歌에, 금도천지 한단, 팔년간과 지은 죄로, 공 바치던 왜단, 훈금어 삼군무늬, 노들십진 영초단, 나는 짐승 우단, 기는 짐승 모단, 쥐털 모아 짜내니, 불에 씻는 화한단, 일조 낭군(郞君) 이별 후에, 독수공방 상사단, 월중단계(月中丹桂) 꺾었으니, 낙수청운(落水靑雲) 장원주, 가련금야 숙창가(可憐今夜宿娼家), 옥빈홍안(玉 紅顔) 가기주, 팽조(彭祖)와 동방삭이, 오래 사는 수주(壽紬),만동묘(萬東廟) 대보단에, 만세불망(萬世不忘) 명주, 만경창파 바람결에, 번뜻번뜻 낭릉(浪陵)이며, 삼월방춘 좋을씨고, 송이송이 화릉, 성자(姓字)도 좋을씨고. 세세초장(世世楚將) 항라(亢羅),황국단풍 구경 가세, 소소금풍(簫簫金風) 추라(秋羅), 천간 열을 세어 보니, 그중 거수(居首) 갑사, 남월북호(南越北胡) 멀다 마소, 주먹 쥐고 뒤쥐사,만물지리무궁(萬物地理無窮)하니,천지대덕(天地大德) 생초, 상풍구월(霜風九月) 축장포(築場圃)에, 백곡등풍(百穀登豊) 숙초, 뭉게뭉게 구름문 두리두리 대접문,이견대인(利見大人) 용문이며, 낙서 짓던 구문(龜文)이요. 한수춘색(漢水春色) 포도문, 용산축신(龍山逐臣) 국화문, 팔짝팔짝 새발문, 투덕투덕 말굽문, 북포 저포, 항저포 세목, 중목 상목이며, 마포 문포 갈포 등물, 꾸역꾸역 다 나오고, 온갖 보패 다 나온다.
금패 호박 밀화며, 산호진주 청강석 유리, 진옥 수만호(水曼胡),대모 서각 고래 수염, 사향 용뇌 우황이며, 용주 한충 이궁전이, 꾸역꾸역 다 나오고, 온갖 쇠가 다 나온다. 황금 적금 백통이며, 오동 주석 놋쇠며, 유납 구리 맑은 쇠, 생동 무쇠 시우쇠. 안방 세간 볼작시면, 삼층 이층 외층장,오합 삼합 자드리, 상자 지롱 목롱 자개 함롱, 뒤주장 앞닫이 혼합경대 쌍룡 그린, 빗접고비 바느질 상자, 반닫이 선반 횃대, 장목 키 큰 병풍 작은 병풍, 온갖 그림 황홀하고, 핫이불 누비이불, 각색 비단 좋을씨고. 화문 보료,우단 요와 녹전 처네, 원앙침을 한데, 모두 괴어 놓고, 왜단 보료 덮었으며, 왕골 세석 쌍봉화문 홍수주(紅水紬)로 꾸몄으며, 지도서로 꾸민 족자, 산호구에 거는 주렴, 방장 휘장 모기장과, 순금 반상 천은 반상, 놋쇠 반상 화기 반상, 시저(匙箸) 주걱 국자며, 밥소래 놋동이 양푼 유합, 탕기 쟁반 열구자 전골판과, 노구솥 냄비 대화로며, 대야 요강 놋광명두 촉대 함께 놓았으며, 사랑 세간 다 나온다.
문갑 책상 가께수리, 필연 퇴침 찬합 등물, 사서삼경(四書三經) 백가어를 가득가득 담은 책롱, 오음육률 묘한 잡이, 가지가지 풍류 기계. 흑각장궁(黑角長弓) 유엽전(柳葉箭)을, 궁대 전동 각기 넣고, 조총 철편 등채 환도, 호반 기계 좋을씨고. 금분(金盆)에 매화 피고, 옥병에 붕어 떴다. 요지반도(瑤池蟠桃) 동정귤을,대화 접시에 담아 놓고, 감로수 천일주를, 유리병에 넣었으며, 당판책(唐板冊)을 보아 가다, 안경 벗어 거기 놓고, 귤즁선(橘中仙) 두던 판에, 바돌 그저 벌였구나. 풍로에 얹은 다관, 붉은 내가 일어나고, 필통 옆에 놓인 부채, 흰 것이 조촐하다.
질요강, 침 타구(唾具)와, 담배 서랍 재떨이며, 오동(烏銅) 빨주 천은 수복, 호박통 각색 연통, 수락 화락 별각죽에, 맵시 있게 맞추어서, 댓 쌈이나 놓았으며, 부엌 세간 헛간 기물, 농사 연장 길쌈 기계, 가지가지 다 나온다. 밥솥 국솥 대철이며, 가마 두멍 쇠소댕 개수통, 구유 살강발과, 물항아리 옹배기며, 소래 시루 항아리, 소반 모반 채반이며, 대소쿠리 나무 함지, 나무 함박 솥솥 조리 쪽박이며, 사기 그릇 사판때기, 재글겅이 부등가리, 부지깽이 부엌비며, 공석 멍석 맷방석, 짚소쿠리 멱서리며, 삿갓 도롱이 접사리며, 쟁기 따비 써레 발판, 괭이 가래 호미 살포,자게 도끼 낫 자귀며, 벼훑이 갈퀴 도리깨 물레, 돌껏 씨아 베틀에, 따른 각색 기계, 빨랫 방망이 다듬잇돌, 홍두깨 방망이며, 심지어 뒷간가래, 다른 나무는 무겁다고, 오동으로 정히 깎아, 나주칠(羅州漆)을 곱게하여, 꾸역꾸역 다 나오니, 이러한 많은 기물, 방이 좁아 놀수 없고, 뜰 좁아 쌀 수 없어, 스물 다섯 자식 중에, 둘은 어려 못 시키고,
스물 세 명 데리고서, 크나큰 동학(洞壑)에다, 비단 따로 포목 따로, 철물 따로 목물 따로, 보패 따로 기명(器皿) 따로, 환부곡식(還付穀食) 다발 짓듯, 각기각기 쌓아 놓으니,적막한 이 산중이, 불시에 종로 되어, 육주비전(六注比廛) 동상전(東床廛)과, 마상전(馬床廛) 박물판이, 정녕히 되었구나.
흥보 아내 그 안목에, 전후에 하나나 본 것이냐. 그래도 가장 네는, 서울에도 갔다 오고, 병영도 다녀오고, 읍내 장에도 다녔으니,매우 박람한 줄 알고, 청한단(靑漢緞) 통말이를, 집어 들고 하는 말이,
"애겨, 그것 장히 좋소. 무명보다 광도 넓으이. 이렇게 긴 바디를, 어디서 얻었으며, 짠 여인네 팔뜩도 길던가베. 이 편으로 북을 던지고, 이 편에서 제가 받아, 물은 우리 치맛물, 청대(靑黛)인지 쪽물인지, 청물이 채(彩) 더 곱거든,짜가지고 들여을 텐데, 반들반들한 데하고, 얼룽얼룽한 떼하고, 빛이 어찌 같잖으니."
그 껄껄한 두 손으로, 비단무늬 만지거든, 오죽이 붙겄느냐.
"애겨, 그것 이상하다. 손가락을 안 놓네."
흥보가 문견(聞見) 있어. 수 터진 사람이면,
"선전시정( 廛市井) 들도, 비단 짤 줄 모른다네, 어찌 알 것인가."
쉽게 대답하련마는, 여편네께 추졸(醜拙)될까, 곧 본 듯이 대답하여,
"비단 짜는 여인네는,팔뚝이 훨씬 길지. 그렇기에 대국에서는, 며느리 선볼 적에, 팔뜩을 먼저 보지. 물은 그게 청대물, 청 곱고 안 곱기는, 사회(死灰) 넣기 매였지. 얼릉얼릉한 것들은, 물들여 가지고서 갖풀로 붙였기로, 손가락이 딱딱 붙지."
흥보 댁이 딱 돌리어,
"애겨 그렇거든, 우리 부부 평생 한이, 의식 없어 한하다가, 먼저 통에 밥 나와서, 양대로 먹었더니,다행히 이 통에서, 옷감이 하 많으니, 눈에 드는 대로, 옷 한 벌씩 해 입세."
"내 소견도 그러하네, 언제 바빠 옷 짓겄나. 우리 식구대로, 한 필씩 가지고서 우에서 아래까지, 우선 휘감아 보세."
"그럴 일이요. 무슨 비단 가지고서 ,당신부터 감으시오."
"우리가 넉넉터면, 큰자식을 성취(成娶)시켜, 전가를 벌써 하고, 건방(乾方)으로 갈 터이니, 제 방위색 찾아, 흑공단으로 감을테세."
"나는 무슨 색을 감고."
"자네는 곤방(坤方) 차지, 흰 비단을 감을 테지."
"옛소 백여우 같게, 붉4은 비단 감을라네."
"오, 딸이 없으니, 아무렇게나 하소."
"큰놈은 박부득이(迫不得已),진방(震方) 차지 청색이요, 그 남은 자식들은, 제 소견에 좋은 대로, 한 필씩 다 감알."
흥보 댁이 또 말하여,
"저 두 말쨋놈은, 온 필로 감아선,ㄴ 숨막혀 죽을 테니,까치 저고리 뽄으로, 각색 비단 찢어 내어, 어깨에서 손목까지, 잡아매어 드리우세."
"오, 좋으이. 그리 하소."
흑공단을 한 필 빼어, 흥보 먼저 감을 적에, 상투에서 시작하여, 뺨과 턱을 휘둘러서, 목덜미 감은 후에, 왼쪽 어깨서 시작하여, 손목까지 내려 감고, 도로 감아 올라와서, 오른쪽 어깨 손목까지 내려 감고,도로 감아 올라와서, 오른쪽 어깨 손목까지, 빈틈없이 감아 올라, 겨드랑에서 불두덩에, 차차 감아 내려와서, 두 다리 갈라 감고, 두 발은 발감개하듯이, 디디고 나서니, 여인네와 자식들은, 상투가 없으니까, 머리 동여 시작하여, 똑같이 감은 후에, 항렬 차례대로, 뜰 가운데 늘어서니, 흥보가 보고 재담하여,
"이게 어디 호사냐, 늘어선 조(調)를 보면, 대촌 당산 법수 같고,휘감아 놓은 품은, 진상 가는 청대 죽물, 색을 의논하면, 내 조는 까마귀. 아이 어멈은 고추잠자리. 큰 놈은 쇠새,여러 놈들은 꾀꼬리, 해오라기 새 한 떼가, 늘어선 곳에, 저 두 말쨋놈은, 비단 장수 다니는 길, 성황당의 나무로다."
온 집안이 대소하고, 흥보가 하는 말이,
"이번 호사 다했으니, 이 통 하나 마저 탑세."
흥보의 마누라가, 박통을 타갈수록, 밥도 나고 옷도 나니, 마음이 장히 좋아, 이 통을 탈 소리는, 내 사설로 메길 테니, 당신은 뒤만 맡소."
흥보가 추어,
"가화만사성이라니, 자네 그리 좋아하니, 참 기물이 나오겄네. 어디 보세 잘 메기소."
흥보 댁이, 메나리 목청으로, 제법 메겨 ,
"여보소 세상 사람, 내 노래 들어보소. 세상에 좋은 것이, 붑밖에 또 있는가."
"어기여라 톱질이야."
"우리 부부 만난 후에, 서런 고생 많이 했네. 여러 날 밥을 굶고, 엄동에 옷이 없어, 신세를 생각하면, 벌써 아니 죽었을까."
"어기여라 톱질이야."
"가장 하나 못 잊어서, 이때까지 살았더니, 천신(天神)이 감동하사, 박통 속에 옷밥 났네. 만복 좋은 우리 부부, 호의호식 즐겨 보세."
"어기여라 톱질이야."
"한 상에서 밥을 먹고, 한 방에서 잠을 잘 제, 부자 서방 좋다하고, 욕심 낼 년 많으리라. 암캐라도 얼른 하면, 내 솜씨에 결딴 나지."
"어기여라 톱질이야."
슬슬 탁 타 놓으니, 천만 뜻밖에, 미인 하나 함교함태(含嬌含態)로 나오는데, 구름 같은 머리털로, 낭자를 곱게 하여, 쌍룡새김 밀화(蜜花)비녀, 느직하게 질렀으며, 매미머리 나비눈썹, 추파 같은 고운 모자(眸子),흑백이 분명하고, 연지뺨 앵도순에, 박씨같이 고운 잇속, 삘기 같은 두 손길, 세류(細柳)같이 가는 허리 응장성식(凝粧盛飾) 금수의상(錦繡衣裳),외씨같이 고운 발씨, 보보생련(步步生蓮) 나오는 양, 해당화 조으는 듯, 모란화 말하는 듯, 쇄옥성(碎玉聲) 으로 묻는 말이,
"흥보 씨 댁이요?"
흥보가 깜짝 놀라,
"하 괴이하여, 당찮은 세간, 그리 많이 나올적에, 만단 의심하였더니 ,임자 아씨 오셨구나."
납작 엎드려 절을 하며,
"호(瓠) 좁은 박통 속에, 평안히 오시니까. 이 세간 임자시면, 모두 가져가옵시오. 쌀 서 말 여덟 되와 돈 넉 냥 아홉 돈은, 한끼 양찬하였삽고, 몸에 감던 비단가지 도로 풀어 놓았으니, 한 가지 것 속였으면, 벗긴 쇠자식이요."
그 여인이 대답하되,
"놀라지 마옵시고, 내 말씀 들으시오. 당 명황(明皇) 천보간(天寶間)에, 회모일소백미생(回眸一笑百媚生), 육궁분대무안색(六宮粉黛無顔色)하던, 양귀비를 모르시오. 어양비고동지래(漁陽 鼓動地來)라,서촉으로 가옵다가, 완전아미 마전사(宛轉蛾眉馬前死), 마외역(馬嵬驛)에 죽은 향혼, 천하에 주류하여, 임자를 구하더니, 제비 편에 듣자온즉, 흥보 씨의 적선행인이, 부자가 되었다니 ,천자 서방 내사 소맇의. 육군분발(六軍分發)할 수 없데. 각선강남 부가옹(却羨江南富家翁), 부자의 첩이 되어, 춘종춘유 야전야(春從春遊夜專夜)에, 무궁행락(無窮行樂)하여 보세."
흥보가 저의 가속의 흑각(黑角)발톱, 다목다리만 보았다가, 이런 일색을 보아 놓으니 ,오죽 좋겄느냐. 손목을 덤벅 쥐다, 깜짝 놀라 탁 놓으며, "어디 그것 다루겄냐, 살이 아니고 우무로다. 저런 것 한창 좋을제, 잔뜩 안고 채겼으면, 뭉크러질 텐데 어찌할까."
서로 보며 농탕치니, 흥보의 마누라가, 좋은 보물 나올 줄로, 소리까지 메긴 것이, 못 볼 꼴을 보았구나. 부정탄 손님같이, 불시에 틀리는데, 손가락을 입에 넣고, 고개를 외로 틀고, 뒤로 돌아앉으면서,
"저것들 지랄하지. 박통 속에서 나온 세간 뉘 것인 줄 채 모르고, 양귀비와 농탕친고. 당 명황은 천자로되, 양구비께 정신 놓아, 망국을 했다는데, 박통 세간 무엇이냐. 나는 열끼 곧 굶어도 시앗 꼴은 못 보겄다. 나는 지금 곧 나가니, 양귀비와 잘 살아라. "
흥보가 가난하여, 계집 손에 얻어먹어, 가장 값을 못 했으니, 호령이나 할 수 있나. 곧 빌어,
"여보소 아기 어멈. 이것이 웬일인가. 자네 방에 열흘 자면, 첩의 방에 하루 자지 . 그렇다고 양귀비가 나 같은 사람 보려 하고, 만리 타국에 나왔으니, 도로 쫓아 보내겄나."
처첩하고 수작할 제, 박통 속 우근우근, 무수한 사람들이 꾸역꾸역 나오는데, 남녀 종이 백여 구, 석수 목수 와수 토수, 각색장인 수백 명이, 각기 연장 짊어지고, 돌과 나무 기와들을, 수레에 싣고 썰매에 싣고, 소에 싣고 말에 싣고, 지게도 지고 더미로 메고, 줄로 끌며 지레로 밀며, 방아타령 산타령, 굿 치며 나오는데, 이런 야단이 있느냐. 마른 담배 서너너덧 참, 뚝딱뚝딱 서둘더니, 기와집 수천 칸을, 동학이 가득하게, 경각에 지어놓고,참으로 이상하여, 벽 붙인 그 진흙을, 어느새에 다 말리어, 도배까지 하였구나.
원채에 본처 두고, 별당에 양귀비요. 안팎 사랑 십여 채며, 사면 행랑 노속이요. 사랑 사랑 굽어보면, 좌상에 객상만(客常滿),사죽(絲竹)이 낭자하며, 시부(詩賦)로 소일하고,곳간마다 열고 보면, 전곡이 가득가득, 남은 곡식은 노적하고, 흥보는 심심하면, 양귀비 데리고서, 후원의 화초 구경, 옥란간 밝은 달에, 둘이 마주 비껴 앉아, 예상우의곡(霓裳羽衣曲)을, 한가히 의논하니, 이러한 지상선(地上仙)이, 어디가 있겄느냐.
흥보가, 졸부(猝富)되었단 말이, 사면에 퍼지니, 놀보가 듣고 생각하여,
'그것 모두 뺏어다가, 부익부를 하면 좋되, 이놈이 잘 안주면, 어떻게 작처할꼬. 만일 아니 주걸랑, 흥보가 부자로서, 제형을 박대한다고,몹쓸 아전 뒤를 대어, 영문(營門) 염문(廉問) 적어 주고, 출패를 돈 백 먹여, 향중에 발통(發通)하고, 도회까지 붙였으면, 이놈의 살림살이, 단참에 떨어 엎지.'
흥보가 사는 동네,급히 물어 찾아가니, 고루거각(高樓巨閣) 오간팔작(午間八作),봉방수와(蜂房水渦) 천문만호(千門萬戶), 즐비하고 웅장하다.
대문을 여럿 지나, 안사랑 앞 당도하니, 흥보가 제 형을 보고, 버선발로 내려와서, 공손히 절을 하고, 반기어 하는 말이,
"형님이 오십니까. 어서 올라갑시다."
방으로 들어가서 상좌에 앉힌 후에, 흥보가 두 손 잡고, 고개를 숙이고서,조용히 사죄한다.
"박복한 이놈 신세, 자분필사(自憤必死)하였더니, 선영의 음덕이며, 형님의 덕택으로, 부자가 되었기에, 자식들을 데리옵고, 형님 댁에 건너가서 형님을 뵈온 후에, 형님을 모시옵고, 선산에 성묘하자, 일자를 받았더니, 형님이 먼저 오셨으니, 하정(下情)에 황송하오."
놀보의 하는 어조, 좋게 하는 말이라도, 평생 남을 잡아 뜯어,
"저러한 부자들이, 우리같이 가난한 놈, 찾아오기 쉽겄는가. 어찌하여 부자가 됐는고.?"
흥보가 제비 살려, 박씨 얻어 부자가 된 내력을, 종두지미(從頭至尾) 다 고하고,
"한퇴지(韓退之)는, 취식강남(取食江南)이라 하더니, 나는 좌식강남(坐食江南)이오. 밥이나 옷이나 기물이 다 강남 것이요."
놀보가 바로 가기로 들어,
"내가 집 일이 많은데, 부득이 나왔더니, 어서 가야 하겄고."
흥보가 만류하여,
"안으로 들어가서, 처자나 보옵시고, 무엇 조금 잡수어야, 환행차를 하시지요."
놀보가 어서 가서, 제비를 청할 테나, 양귀비 구경키로, 흥보따라 들어가니, 제수가 나와서 연접하여, 이놈이 양귀비를 찾느라고, 눈을 휘휘 내둘러, 수숙(嫂叔)이 절한 후에, 제수 먼저 문후하여,
"아주버님 뵈온 지가, 여러 해 되었으니, 기체 안녕하십니까."
놀보놈의 평생 행세, 제수 보기 종 같아서, 아주머니 고사하고, 하오도 안하더니, 오늘은 전과 달라, 앉은 방 차린 의복, 새 눈이 왈칵 띄어, 홀대(忽待)를 하여서는, 탈이 정녕 날 듯하고, 경대를 하자 하니, 혀가 아니 돌아가서, 매운 것 먹은 듯이, 입을 불며 얼버무려,
"허 평안하오."
흥보가 종을 불러,
"도령님네 게시느냐. 들어들 와 뵈오래라."
이것들이 멍석 구멍에, 근본 길이 들었구나. 세 줄로 늘엎디어, 절하고 꿇안으니, 소위 백부 되는 놈이,
"모시고들 잘 있더냐." 하든지,
"선영의 음덕이다. 좀 잘들 생겼느냐."
하든지, 할 말이 좀 많을새, 저 때려 죽일 놈이, 흥보를 돌아보며,
"너 닮은 놈 몇 되느냐."
흥보 부처의 넓은 소견, 개 같은 놈 탄컸느냐. 묵묵무어(??無語)하는구나.
자식들 나간 후에, 또 종을 불러,
"일 오너라."
이것들이 강남에서 나와서, 아주 열쇠 같지.
"예"
"강남 아씨께 여쭈어라."
아이(俄而)오 미인 하나가, 들어오는데, 당 명황 같은 풍류 천자도, 정신을 놓았는데, 놀보 같은 상놈 눈에, 오죽 놀랐겄나. 보더니 턱을 채고, 일어서 절 받기를, 큰 제수께 비하면, 갑절이나 공순하다. 양귀비 거동 보소. 옥수를 땅에 짚고, 청산미(靑山眉) 나직하고, 양도순을 반개하여, 옥반낙주성(玉盤落珠聲)으로, 문후를 하는데,
"먼데 살고 천한 몸이, 이 댁 문하에 의탁한 지, 오래지 않삽기로, 처음 문후 드립니다."
놀보놈 제 생전, 처음 보는 미색이요, 처음 듣는 옥음이라, 넉넉잖은 제 언사에, 어찌 대답할 수 없고, 턱 들입다 안고 싶어, 정신을 놓겄구나. 벌벌 떨며 대답하되,
"오시는 줄 알았더면, 내가 와서 박 타지요."
앵무 같은 아이 종이, 주물상을 올리는데, 소반 기명 음식 등물, 생전에 못 보던 것. 형제 함께 상을 받고, 종년이 옆에 앉아, 술을 연해 권하는데, 놀보가 좋은 술을, 십여배 먹어 놓으니, 취중에 광심이 나서, 참다가 못 견디어, 양귀비의 고운 손목, 썩 들입다 쥐면서,
"술 한 잔 잡수시오."
다른 계집 같거드면, 뺨을 치며 욕을 하며, 오죽하겄느냐. 안색이 천연하여, 좋게 대답하는 말이,
"왜 내가 물에 빠지오."
놀보놈이 깜짝 놀라, 손목을 썩 놓으며,
"일색뿐 아니시라, [맹자] 많이 읽었구나"
양귀비가 일어나서, 안으로 들어가니,흥보 마누라가, 그 뒤 따라 가는구나. 놀보놈이 무안하여, 술상을 물리고서 , 무슨 심사를 부리려고, 사면을 살펴보니, 좋은 비단 붉은 보로, 이불을 덮었거든, 일어서서 쑥 빼내어, 청동 화로 백탄 불에, 비비어 던지면서, 부담을 하는 말이,
"계집년은 내외하여, 안으로 가려니와, 이불도 내외하나."
저 비단이 불 붙더니, 재 되기는 어림없고, 빛이 더욱 고와 간다. 놀보가 물어,
"그게 무슨 비단이냐."
"화한단(火漢緞)이오. 불쥐 털로 짠 것이라, 불에 타면 더 곱지요."
"얘, 그것 날 다오."
"그럽지요."
"또 무엇을 가져갈꼬., 너 그 첫 통 속에, 쌀 들고 돈 들었던 궤 둘 다 주려느냐?"
"부자 된 밑천이니, 둘 다 어찌 드리겄소, 하나씩 나눕시다. 어떤 것을 가지시려우."
"돈궤를 가질란다."
"그럽시오. 또 무엇 생각 있소."
"다 주면 좋건마는, 내가 바빠 가겄기로, 그것만 가져가니, 다시 생각나는대로,연해 와서 가져가지. 내가 번번이 올 수 없어, 기별을 하는 대로, 칭탁 말고 보내어라."
"그리 하오리다."
벼룻집 같은 궤를, 화한단 보에 싸서, 제 손수 옆에 끼고 제 집으로 급히 가서 문 안데 들어서며, 종 불러 하는 말이,
"짚 댓 뭇 급히 축여, 돈꿰미 한 천 발을, 어서어서 꼬아 오라."
안으로 들어가서, 제 계집께 자랑하여,
"여보소 흥보놈이, 참 부자가 되었거든. 그놈의 재산 밑천 ,내가 여기 뺏어 왔네."
화한단 보를 풀며,
"이것은 불에 타면, 더 고운 것이로세."
돈궤를 내놓으며,
"이것은 돈이 생겨, 비워 내면 또 생기지."
궤 문을 열어 놓으니, 돈은 나전돈(신이나 부처께 복을 빌 때 그 삶의 나이 수효대로 놓는돈), 몸뚱이는 구전(舊錢) 꿴 듯, 구부려 누운 길이, 넉냥 아홉 돈만한, 샛누런 구렁이가, 고개를 꼿꼿이 들고, 긴 혀를 널름널름. 놀부부처가 대경하여 ,궤 문을 급히 닫고, 노속을 바삐 불러,
"이것을 갖다가, 문 열어 보지 말고, 짚불에 바로 태워라."
놀보 계집이 말려,
"애겨 그것 사르지 맙쇼. 인제 그런 흉한 것들, 돈 나는 궤 주었다고 자세(藉勢)하면 어쩌게. 구렁이 쌌던 보를, 두어서 무엇 하게. 그 보로 도로 싸서, 급급 환송하소."
놀보가 추어,
"자네 말이 똑 옳으네."
사환을 급히 시켜, 흥보 집에 환송커늘, 흥보가 받아 열고 보니, 거렁이는 웬 구렁이, 돈이 한나 가득하지. 제 복이 아니면은, 할 수 없는 법이었다.
욕심 없는 놀보놈이, 제비를 청하기로, 차비를 장만할 제, 이런 야단이 없구나. 신 잘 삼는 사람들을,십여 명 골라다가, 메일에서 돈 공가(工價),삼시 먹고 술 담배를, 착실히 대접하고, 외양간 더그매(지붕 밑과 천장과의 빈 공간)에, 신 삼을 찰벼 짚을, 여남은 짐 내어놓고,제비받기 수백 짐을, 밤낮으로 걸어 내어, 안채 사랑 행랑이며, 곳간 사당 뒷간채에, 앞되 처마 다 지르고, 제 대가리 상투 밑에, 풍잠(風簪)지른 모양으로, 앞뒤로 갈라 꽂고, 제비 몰러 나갈 적에, 상엽홍어이월화(霜葉紅於二月花),한산석경(寒山石俓)에 올라가고, 설청운산 북풍한(雪靑雲散北風寒),초수오산(楚水吳山)을 다 찾아도, 제비 소식 알 수 없다. 놀보가 제비에, 상사병이 달려들어, 길짐승은 족제비를 사랑하고, 마른 그릇은 모제비('모집'이라고 하는 '고리'의 사투리)만 사고, 음식은 칼제비,수제비만 하여 먹고, 종이 보면 간제비를 접고, 화가 나면 목제비(목접이의 사투리)를 하는구나.
그렁저렁 과동하여, 정월 이월 삼월 된, 강남에서 오는 제비, 각 집을 날아들제, 신수 불길한 제비 한 쌍이, 놀보 집에 들어 가니, 놀보가 제비 보고, 집짓기에 수고된다 제가 손수 흙을 이겨, 메주 덩이만씩 뭉쳐, 처마 안에 집을 짓고, 검불을 많이 긁어, 소 외양간 짚 깔 듯이, 담뿍 넣어 주었더니, 미친 제비 아니면은, 게다 알을 낳겄느냐.
위가상치(違家相値:깃들일 집을 그릇 듦) 하였기로, 알 여섯을 낳았더니, 마음 비쁜 놀보놈이, 삼시로 만져 보아, 다섯은 곯고 하나 까서, 날기 공부 익힐 적에, 이 흉녕한 놀보 소견, 구렁이가 먹으렬 제, 쫓았으면 저리 될까. 축문 지어 제사하되, 구렁이가 아니 와, 대발 틈에 절각하면, 제가 동여 살려 줄까, 밤낮으로 축수하되, 떨어지지도 아니하여, 날기 공부하느라고 ,제 집가에 발 붙이고, 날개를 발발 떨면, 놀보 놈이 밑에 앉아,
"떨어지소 떨어지소"
두손 싹싹 비비어도 ,종시 아니 떨어지니, 그렁저렁 점점 커서, 날아가게 되었구나.
놀보가 망단(妄斷)하여,절로 절각되기 기다리면, 놓치기 가려(可慮)하니, 울려 놓고 달래리라, 제비 집에 손을 넣어, 제비 새끼 집어내어, 그 약한 두 다리를, 무릎에 대고 자끈 꺾어, 마웃 바닥에 선뜻 놓고, 천연히 모르는체, 뒷집 지고 걸으면서, 목소리를 크게 내여, 풍월을 읊는구나.
"황성허조 벽산월(荒城虛照碧山月)이요. 고목은 짖입창오운(盡入蒼梧雲)."
앞으로 돌아서며, 제비 새끼 얼른 보고, 생침 맞는 된 목소리로, 제 계집을 급히 불러,
"여보소 아이 어멈. 내가 아까 글 읊느라, 미처 보지 못했더니, 제비 새끼가 떨어져,절각이 되었으니, 불쌍해 보겄는가. 어서 감아 살려 주세."
저 몹쓸 놀보놈이, 제비 다리 감으렬 제, 흥보보다 더하려고, 대민어 껍질을 벗겨, 세 겹을 거듭 싸고, 당사실은 가늘다고,당팔사 주머니 끈으로, 단단히 동인 후에, 제 집에 도로 넣고,행여나 촉풍(觸風)할까. 섶 두껍고 큰 누더기를, 서너 겹 둘렀더니, 놀보 망칠 제비여든, 죽을 리가 있겄느냐. 십여 일이 지났더니, 절각이 완합하여, 비거비래 출입터니, 연지사일 사소거(燕知社日辭巢去),강남으로 들어갈 제, 놀보가 부탁하여,
"여봐라 제비야. 똑 죽을 네 목숨을, 내 재조로 살렸으니, 아무리 짐승인들, 재생지덕(再生之德) 잊겄느냐. 흥보 은혜 갚은 제비, 세 통 박씨를 주었으니, 너는 갑절 더 보태어, 여섯 통 열 박씨를, 부디 쉬이 물고 오라. 삼월까지 있지 말고, 과세 즉시 발행하여, 정월 망전에 당도하면, 기다리기 괴롭잖고, 오죽 좋겄느냐. “
그 제비 들어가서, 놀보의 전후 내력을, 장수전에 고한 후에, 박씨 하나 얻어 두고, 명년 삼월 기다릴 제. 이때에 놀보놈은, 정월 보름에 제비 올까, 앉은 뱅이 삯군 얻어, 강남에 급주 보내 보고, 안질 난 놈 중가 주어, 제비 오는 망을 보아, 제비에게 드는 돈은, 아끼잖고 써낼 제, 그렁저렁 삼월 되어, 자거자래 당상연(自去自來堂上燕),놀보 집에 다시 오니, 놀보놈이 참으로 반겨,
"반갑다 내 제비야, 어디 갔다 이제 왔나. 금천씨이조기관(金天氏以鳥紀官),벼슬하러 네 갔더냐. 유소씨 구목위소(有巢氏構木爲巢),집짓기 배우러 네 갔더냐. 오의항구석양사(烏衣巷口夕陽斜),왕사당전(王社堂前)에 네 갔더냐. 기다홍분위황니(幾多紅紛委黃泥),미앙궁중(未央宮中)에 네 갔더냐. 어이 그리 더디 와서, 내 간장을 다 녹이냐. 박씨 물어 왔거들랑, 어서 급히 나를 다오."
손바닥을 딱 벌리니,저 제비 거동 보소. 물었던 박씨 하나, 놀보 손에 떨어치고, 두 날개 편편(翩翩)하여, 돌아도 안 보고, 백운간에 날아가니, 놀보 좋아 춤을 추며, "얼씨구나 좋을씨고. 부익부를 하겄구나."
저의 가속을 급히 불러, 박씨 주며 자랑한다.
놀보 가속이 박씨 보고,
"애겨 이것 내버리소. 갚을 보(報)자 원수 구(仇)자, 바람 풍(風)자 쓰었으니, 원수 갚을 바람이니, 어디 그것 쓰겄는가."
놀보가 대답하되,
"자네가 어찌 알어. 원수구라 하는 글자, 군자호구(君子好逑)란, 짝 구(逑)자와 통용하니, 어떠한 미인으로 내 짝 갚잔 말이로세."
놀보 가속이 들어 보니, 이런 죽을 말이 있나. 못 심을 말 연해 하여,
"만일 그러하면, 바람 풍자는 웬일인가."
"바람 풍자 더 좋지. 태호(太昊) 복희씨는, 풍성(風姓)으로 왕하시고, 순임금의 오현금(五絃琴)안,남풍시를 노래하고, 문왕 무왕의 장한 덕화는, 천무열풍(天無烈風)하였으며, 주공은 성인이라, 빈풍시( 風詩) 지으시고, 한 태조 수수풍(睡水風),광무황제 곤양풍(昆陽風),와룡선생 적벽풍(赤璧風),대풍이 삼조한(三助漢),장하다 하려니와, 백이숙제 고절충풍(高節淸風), 엄자릉(嚴子陵)의 선생지풍(先生之風),도정절(陶靖節)의 북창청풍(北窓淸風),만고에 맑았으니, 그 아니 좋을쏜가. 우리도 이 박 심어, 습습동풍(習習東風)d 입묘하여, 삼월 남풍에 점점 자라, 우순풍조(雨順風調) 호시절에, 꽃이 피고 박이 열어, 팔월 고풍에 따서 켜면, 보물이 풍풍 나와, 집안이 풍덩풍덩, 근래 풍속 좋은 호사, 갑사 풍차(風遮) 금패 풍잠, 학슬풍안(鶴膝風眼) 떠 괴고, 은안 백마 도춘풍(銀鞍白馬度春風)에, 풍호무호(風乎舞乎)하여 보고, 풍류랑(風流郞) 좋은 팔자, 밤낮 풍악으로 지낼 적에, 네 귀에 풍경 단 집, 방 안에 병풍 치고, 풍로에 차관(茶罐)얹고, 풍석(風席)없는 자네 배를, 선풍도골(仙風道骨) 내가 타고, 풍편수성침(風便數聲砧)을, 풍풍 찧었으면, 경수무풍야자파(鏡水無風也自波)가, 짤끔짤끔 날 것이니, 그만하면 풍족하지, 잔말 말고 심어 보세."
책력을 펴놓고, 재종일을 가려내어, 사랑 앞을 급히 파고, 못자리할 거름을, 모두 게다 퍼 쟁이고, 단단히 심었더니, 아침에 심은 것이, 오후가 겨우 되어, 솟아난 큰 박 순이, 수종(水腫)난 놈 다리 만큼.놀보 아내가 깜짝 놀라,
"여보시오 아이 압시, 이것 급히 빼 버리오. 은나라 상상곡(詳桑穀)이, 아침에 났던 것이, 저녁에 큰 아람, 요물이라 하였으니, 이것 정녕 재변이오."
놀보가 장담하여,
"나물이 되련 것은, 떡잎부터 알 것이니, 사오 삭이 지나가면, 억만금 세간, 그 덩굴에서 날 터이니, 일찌감치 잡죄겄나(잘 되지 않겄는가)."
이 박의 크는 법이, 날마다 갑절씩이, 더럭더럭 크는구나. 연거푸 순이 나고 순이 나고, 한 순이 커지기를, 한 아름이 넘는구나. 어디 가 턱 걸치면, 모두 다 무너질 제, 사당에 걸치더니, 사당이 무너져, 신주가 깨어지고, 곳간에 걸치더니, 곳간이 무너지고, 온 동네 집집마다, 부지불각 턱 걸치면, 무너지고 무너지고, 무너지면 값을 물고, 무너지면 값을 물고. 그렁저렁 거기에 든 돈이, 삼 사천 냥 넘었으니,놀보가 벌써부터, 박의 해를 보는구나.
꽃이 피어 박 맺을 제, 처음에 바로 북통만씩, 십여 일이 지나더니, 나루의 거룻배만, 한 달이 되더니, 조창(漕倉) 세곡선(稅穀船)만. 여섯 통이 열었거든, 놀보가 좋아라고, 가리키며 국량(局量)하여,
"저 통 색이 노란 것이, 속에 정녕 금 들었지, 황금 적금이라니, 은도 누르겄다. 어느 통에 미인 있노. 그 통을 꼭 알면은, 포장으로 둘러 두게."
한참 아리 걱정할 제, 허망이라 하는 놈이, 성명 듣고 행사 보면, 명불허득(名不虛得)하였구나. 동네 사람들이 앉으면 놀보 공론.
"놀보 같이 약은 놈이, 박에다 쓰는 돈은, 아끼잖고 써 내니, 무슨 꾀를 냈으면, 돈 천이나 쓰게 할꼬."
허망이가 장담하여,
"나밖에 할 이 없지."
놀보 집에 건너가서,
"여보소 놀보씨, 박통일을 몰라, 걱정을 하신다니, 나를 어찌 안 찾는가."
놀보가 반가이 물어,
"자네가 알겄는가."
허망이 대답하되,
"모수자천(毛遂自薦)하는 말을, 남은 암만 웃더라도, 노형이야 속이겄나. 값 정해 주었다가, 박 타보아 안 맞거든, 그 돈 도로 찾아가소."
"그리 할 일일세."
맞히면 천 냥 결가(決價),삼백 냥 선폐하고, 박 속 일을 알려 할 제, 허망이 지닌 재조, 복구분법(卜龜分法)이었다. 박통 놓인 좌향(坐向)을, 복구분법으로 보아 가니, 신통히 맞히거든,
첫 통 보고 하는 말이,
"모두 다 생금인데, 누가 혹 가져갈까, 노인 한분 수직한다."
둘째 통을 한참 보다,
"사람이 많이 들었구나."
놀보가 옆에 앉아, 손수 장담이 더 우스워,
"집 지을 장인들과 종들이 들었나뵈."
셋째 통을 보더니,
"애겨 계집 많이 있다."
"서시(西施)가 나오는데, 계집종들이 따라오나."
넷째 통 또 보더니,
"풍류기계 많이 있다."
"내가 두고 행락하게."
다섯째 통을 가리키며,
"그 가마 장히 길다."
"나하고 서시 둘이 타게."
여섯째 통 가리키며,
"그 말 장히 좋다."
"타고도 다닐 테요, 바 늘여 매어 두지."
"대강만 볼지라도 들 것 다 들었으니, 어서 타고 보는 술세."
책력을 펴놓고, 납재일(納財日) 가려내어, 박통을 타려 할 제, 섬(石)술 빚고 섬밥 짓고, 소 잡히고 개 잡혀서, 먹이를 차린 후에, 팔 힘 세고 소리 좋은, 건장한 역군들을, 잔뜩 먹고 닷 냥 삯에, 삼십 명을 얻어다가, 생금 통을 먼저 탈 제, 놀보가 좋아라고, 제가 소리를 메기는데, 똑 금이 나올 줄로, 금으로 메겨 ,
"여보소 세상 사람, 금 내력을 들어 보소, 여수(麗水)에 생겨나고, 흙 속에 묻히어서, 소진(蘇秦)은 구변으로, 많이 얻어 실어 오고, 곽거(郭巨)는 효성으로 묻힌 것을 파내었네."
"어기여라 톱질이야."
"오행의 가운데요, 팔음의 머리로다. 아부(亞父)를 반간(反間)키로, 진평(陳平)은 흩었는데, 고인이 주는 것을, 양진(楊震)어이 마다 하고."
"어기야라 톱질이야."
"나는 제비 살렸더니,금 박통 씨 얻었으니, 이 통을 어서 타서, 금이 많이 나오면은, 석숭(石崇)을 부러워할까, 이 동네가 금곡(金谷) 되리."
"어기여라 톱질이야."
"서시 소군 앉히기로,황금옥을 지어 볼까 자류청총(紫 靑 ) 달리기로, 황금편을 만들고저."
"어기여라 톱질이야."
슬근 슬근 거진 타니, 박통 속에서, 글 읽는 소리가 나,
"맹자 견양혜왕(孟子見梁惠王)하신데,왕왈수불원천리이래(王曰 不遠千里而來)하시니, 역장유이이오국호(亦將有以利吾國乎)이까. 마상에 봉한식(逢寒食)하니, 도중에 송모춘(送暮春)을, 가련 놀보 망하니, 불견상전(不見上典)인가."
놀보가 듣고 하는 말이,
"어디 그게 박 속이냐, 정녕한 서당이지. 귀글은 당음(唐音)인데, 강포(江浦)가 놀보 되고, 낙교(洛橋)가 상전되니, 그것은 웬일인고."
한참 의심하노라니, 박통 문을 반만 열고, 노인 한 분이 나오는데, 차린 복색 제법이어, 헐고 헌 쳇불관(冠)에, 빈대 알이 따닥따닥, 생마포 적삼 위에, 개가죽 묵은 배자가, 무릎 밑에 털렁털렁, 구멍이 뻔뻔한 중치막, 아랫단 황토 묻고, 세전지물(世傳之物) 묵은 바지, 오줌 싸서 얼룽이 지고, 석 자 가웃 홑베 주머니에, 일가산을 넣어 차고, 또닥또닥 기운 버선, 사날(네 날로 된 짚신) 초혜(草鞋)를 들메신고,곱돌조대 중동 쥐고, 개털 모선으로 차면하고, 놀보의 안방으로 제 집같이 들어가니, 놀보가 보고 장담하여,
"흥보는 첫 통 탈제, 동자가 왔다더니, 내 박은 첫 통에서, 노인이 나오시니, 그로만 볼지라도, 관동지분(冠童之分)이 있고, 저 주머니 속에 든게, 다 선약이지."
바삐바삐 따라가서, 자상히 살펴보니, 토끼 같은 낯에, 반대코가 맵시 있다. 뱁새 눈 병어 입에, 목소리는 장히 커,
"이놈 놀보야, 구상전(舊上典)을 모르느냐. 네 할아비 덜렁쇠, 네 할미 허튼 댁, 네 아비 껄덕놈이, 네 어미 허천네, 다 모두 댁 종이라. 병자 팔월에, 과거 보러 서울 가고, 댁 사랑이 비었을제, 흉녕한 네 아비놈, 가산 모두 도둑하여, 부지거처 도망했으니, 적년을 탐지하되, 종적을 모르더니, 조선에 왔던 제비 편에, 자세히 들어 보니, 네놈들이 이곳에서, 부자로 산다기로, 불원천리 나왔으니, 네 처자 네 세간을, 박통 속에 급히 담아, 강남 가서 드난하라."
놀보가 들어 보니, 정신이 캄캄하여, 아무렇다 못 하겄다. 아니라 하자 한들, 삼 대나 되었으니, 증인 설 사람없고, 싸워 보자해도, 이 양반 생긴 것이, 불에 넣어도 안 탈 테요, 송사를 하자하니, 좋잖은 그 근본을,읍촌이 다 알터니, 어찌하면 무사할꼬. 저 혼자 국량할 제, 저 양반의 호령 소리, 갈수록 무섭구나.
"이놈 놀보야, 구상전이 와 게신데, 네 계집 네 자식이, 문안을 아니하니, 이런 변이 있단 말고. 일 오너라."
박통 속이 관문같이,
"예."
범강 장달, 허저 같은 설금찬(힘세고 무섭게 생긴),여러 놈이 몽치 들고, 올가미 바 들고, 꾸역꾸역 퍼나오니, 놀보가 이 광경을 본즉, 죽을밖에 수 없구나. 엎디어서 애걸한다.
"여보시오 상전님, 이 동네가 반촌이요, 아비 가세 요부(饒富)키로, 착관하고 지내오니, 이 고을 통경 내에, 모모한 양반 댁이, 다 모두 사돈이요. 이 소문이 나게 되면, 소인은 고사하고, 그 양반들 우세오니,방장부절(方長不折) 생각하와, 아무 말씀 마옵시고, ?/p

'건강,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밭에나가 일하니 건강해지신 어머니  (0) 2006.10.03
억상정책과 개성상인  (0) 2006.10.03
여자생활백서  (0) 2006.10.02
울고싶은 남자들  (0) 2006.10.02
담쟁이  (0) 2006.10.02
Posted by ogfriend

블로그 이미지
오래된 그리고 좋은 친구들이 가끔들러 쉬다 가는곳.. 블로그에 게재된 내용 중 게재됨을 원치 않으시거나, 저작권자의 요청이 있으면 즉시 게재한 내용을 삭제하겠으니 삭제요청 메일 주시기 바랍니다 모닥불 올림. Any copyrighted material on these pages is used in noncomercial fair use only, and will be removed at the request of copyright owner.
ogfriend

태그목록

공지사항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