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 나의 결혼식 날이었다. 결혼식이 다 끝나도록 친구 형주의 얼굴은 보이지 않았다. 바로 그때 형주 아내가 토막 숨을 몰아쉬며, 예식장 계단을 급히 올라왔다. “석민이 아빠는 오늘 못 왔어요. 죄송해요. 석민이 아빠가 이 편지 전해드리라고 했어요.” 친구 아내는 말도 맺기 전에 눈물부터 글썽였다. 엄마의 낡은 외투를 덮고 등 뒤의 아가는 곤히 잠들어 있었다. "철환아, 형주다. 아내의 눈동자에 내 모습도 담아 보낸다. 하루를 벌어 하루를 먹고 사는 리어카 사과장수이기에 이 좋은 날, 너와 함께 할 수 없음을 용서해 다오. 사과를 팔지 않으면 석민이가 오늘 밤 굶어야 한다. 어제는 아침부터 밤 12시까지 사과를 팔았다. 온종일 추위와 싸운 돈이 만 삼천 원이다. 하지만 힘들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아지랑이 몽기몽기 피어오르던 날, 흙 속을 뚫고 나오는 푸른 새싹을 바라보며, 너와 함께 희망을 노래했던 시절이 내겐 있었으니까. 나 지금, 눈물을 글썽이며 이 글을 쓰고 있지만 마음만은 기쁘다. '철환이 장가간다, 철환이 장가간다. 정말 기쁘다.' 아내 손에 사과 한 봉지 들려 보낸다. 지난 밤 노란 백열등 아래서 제일로 예쁜 놈들만 골라냈다. 신혼여행 가서 먹어라. 이 좋은 날 너와 함께 할 수 없음을 마음 아파 해 다오. 나는 항상 너와 함께 있다. - 해남에서 형주가." 편지와 함께 들어 있던 만 원 짜리 한 장과 천 원짜리 세 장. 뇌성마비로 몸이 불편한 형주가 하루종일 거리에서 서서 한겨울 추위와 바꾼 돈이다. "형주 이 놈, 왜 사과를 보냈대요. 장사는 뭐로 하려고-." 씻지도 않은 사과를 나는 우적우적 씹어 댔다. 왜 자꾸만 눈물이 나오는 것일까. 새 신랑이 눈물 흘리면 안되는 데, 다 떨어진 구두를 신고 있는 친구 아내가 마음 아파할 텐데. 참으면 참을수록 더 큰 소리로 터져 나오는 울음이었다. 사람들 오가는 예식장 로비 한가운데 서서. 형주는 지금 조그만 지방 읍내에서 서점을 하고 있다. '들꽃서점' 열 평도 안 되는 조그만 서점이지만, 가난한 집 아이들이 편히 앉아 책을 읽을 수 있는 나무 의자가 여덟 개다. 그 조그만 서점에서 내 책 <행복한 고물상> 저자 사인회를 하잔다. 버스를 타고 남으로 남으로 여덟 시간을 달렸다. 교보문고나 영풍문고에서 사인을 해 줄 때와는 다른 행복을 느꼈다. 정오부터 밤 9시까지 사인회는 아홉 시간이나 계속됐다. 사인을 받은 사람은 일곱 명이었다. 행복한 시간이었다고 친구에게 말해 주고 싶었다. 하지만 나는 마음으로 이야기했다. "형주야, 나도 너처럼 감나무가 되고 싶었어. 살며시 웃으며 담장 너머로 손을 내미는 사랑 많은 감나무가 되고 싶었어." 출처 : 이철환 <곰보빵> 중에서 |
'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의 거울을 먼저 닦아야 (0) | 2006.09.25 |
---|---|
창밖에 아내얼굴 그리며 (0) | 2006.09.25 |
지하철않에서의 외국인 노동자 (0) | 2006.09.25 |
돛대도 아니달고 삿대도없이 (0) | 2006.09.25 |
몇년전 죽은 동창녀석이 생각났습니다. (0) | 2006.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