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10. 2. 17:44 명상의자리
아름다운 삶을 위해서는..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76.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72.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69.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68.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67.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66.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65.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105.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43.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103.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42.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102.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104.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41.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40.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101.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39.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70.jpg)
![](http://www.positive.co.kr/community/ecard/picfile/ecard_44.jpg)
'명상의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짓없는 삶 (0) | 2006.10.03 |
---|---|
행복해 지는법 (0) | 2006.10.03 |
하산도 등산이다. (0) | 2006.10.02 |
기억하세요 혼자가 아니란것을 (0) | 2006.10.02 |
흘러간 세월 ... 대중문화 (0) | 2006.10.01 |
2006. 10. 2. 17:44 명상의자리
거짓없는 삶 (0) | 2006.10.03 |
---|---|
행복해 지는법 (0) | 2006.10.03 |
하산도 등산이다. (0) | 2006.10.02 |
기억하세요 혼자가 아니란것을 (0) | 2006.10.02 |
흘러간 세월 ... 대중문화 (0) | 2006.10.01 |
행복해 지는법 (0) | 2006.10.03 |
---|---|
아름다운 삶을 위해서는.. (0) | 2006.10.02 |
기억하세요 혼자가 아니란것을 (0) | 2006.10.02 |
흘러간 세월 ... 대중문화 (0) | 2006.10.01 |
19만원짜리 동남아여행 (0) | 2006.09.30 |
2006. 10. 2. 14:17 명상의자리
| |||||||
![]() | ![]() |
![]()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에게는 매일매일 따라다니며 그의 곁에 있는 그림자가 있었습니다. 그림자는 항상 그의 곁에 있었습니다. 그는 그림자에게 잘해 주었고 그림자는 말없이 그의 곁을 지켰습니다. ![]() 어느 날, 질투심 많은 바람이 그의 곁을 지나며 말했습니다. "왜 그림자에게 잘해주세요?" 그러자 그는 "그림자는 항상 내 곁에 있어주기 때문이지." 하고 말했습니다. 바람이 다시 말했습니다. "핏, 아니에요. 그림자는 당신이 기쁘고 밝은 날만 잘 보이지, 어둡고 추울 때는 당신 곁에 있지 않았다고요." 생각해보니 그도 그럴 것이 그가 힘들고, 슬프고 어두울 때는 항상 그림자는 보이지 않았던 거였어요. 그는 화가 났습니다. 그리고 그림자에게 가서 "더 이상 내 곁에 있지 말고 가버려!" 하고 말해버렸어요. 그 한마디에 그림자는 조용히 사라졌답니다. ![]() 그후로 그는 바람과 함께 즐겁게 지냈습니다. 그것도 잠시.. 잠시 스친 바람은 그저 그렇게 조용히 사라져 버렸습니다. 너무나 초라해져버린 그는 다시 그림자를 그리워하게 되었답니다. "그림자가 어디갔을까.. 다시 와줄 순 없을까?"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어디선가 그림자는 다시 나오고, 조용히 그의 곁에 있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림자는 이렇게 말했지요. ![]() "난 항상 당신 곁에 있었답니다. 다만 어두울 때는 당신이 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왜냐고요? 힘들고 슬프고 어두울 때는 난 당신에게 더 가까이... 가까이..다가가고 있었기 때문이에요. 너무나 가까이 있어서 당신이 바라 볼 수가 없었나봐요." ![]() 우리 서로가 힘이 들 때 누군가가 자신의 곁에 있다는 걸 잊고 살아요. 세상에 혼자 남겨져 있다 생각하면 그 아픔은 배가 되어버린답니다. ![]() 기억하세요. 혼자가 아니란 것을... 너무나 가까이 있어서 보이지 않았을 뿐이란 것을... |
아름다운 삶을 위해서는.. (0) | 2006.10.02 |
---|---|
하산도 등산이다. (0) | 2006.10.02 |
흘러간 세월 ... 대중문화 (0) | 2006.10.01 |
19만원짜리 동남아여행 (0) | 2006.09.30 |
오판과 치적 (0) | 2006.09.29 |
2006. 10. 1. 14:17 명상의자리
‘한류’가 아시아를 휩쓸고 있다. 일본을 비롯해 중국, 대만, 홍콩, 베트남 등에서 한국 노래, 영화, 드라마가 그들의 일상을 지배하고 있을 정도다. '55년 5월 싱가폴에서 열린 동남아 영화제에 참가하기 위해 비행기에 오르고 있는 영화인들 가운데가 50년대 대표영화 ‘자유부인’에서 주연한 주선태 ![]() 1956년 5월 한국RCA배급회사(KORCAD)가 국내 최초의 TV방송인 HLKZ-TV를 개국했다. 서울중앙방송국 TV 방송 장면 ![]() 1957년 국제영화사상 수상자들. ![]() 1959년 8월 우수영화 및 개인연기상 시상식장의 최은희 ![]() 1959년 8월20일 영화의 날 행사가 개최된 서울 명동 시공관을 찾은 시민들. 59년은 한국 영화 사상 처음으로 한해 제작편수가 100편을 넘어서고 203편의 외국영화가 수입될 정도로 영화 전성기였다 ![]() 1962년 서울에서 열린 제9회 아시아영화제에 참석한 아시아 영화인들 1970년 청룡영화제 시상식. 남우조연상을 받은 허장강과 여우조연상의 사미자 대중가요는 어떤 대중문화 보다 유행에 민감했다. 50년대 ‘단장의 미아리고개’ ‘굳세어라 금순아’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엔 한국전쟁의 아픔이 담겨있다. 50년대 가요는 트로트 일색이라 할 만하다. 60년대 들어 가요는 라디오 시대가 열리면서 본격적으로 발전한다. 2/4박자인 트로트를 벗어나 슬로우 록, 폴카, 맘보, 트위스트 등 다양한 장르가 시도되고 번안가요나 미국풍의 노래들이 불려지기 시작한다. 노래에 담긴 내용도 밝고 가벼워 진다. 60년대 특징중 하나는 고학력자들의 가요계 진출이다. 최희준(서울대 법대), 김상희(고려대 법대), 길옥윤(서울대 치대 전신인 경성치과전문대) 등이 대표적이다. 고학력자가 많지 않았던 당시 이들의 출현은 대중들에게 신선한 충격이었다. 60년대 대표 히트곡과 가수들로는 ‘동백아가씨’ ‘여자의 일생’ ‘기러기 아빠’(이미자), ‘하숙생’ ‘맨발의 청춘’ ‘우리 애인은 올드미스’(최희준), ‘가슴아프게’ ‘어머님’(남진), ‘ 사랑은 눈물의 씨앗’ ‘강촌에 살고싶네’(나훈아), ‘ 대머리총각’(김상희), ‘밤안개’(현미), ‘ 노란샤쓰 입은 사나이’(한명숙), ‘서울의 찬가’(패티김), ' 동숙의 노래' (문주란), ‘소양강처녀’(김태희), ‘안개’(정훈희), ‘아빠의 청춘’(오기택), ‘갈대의 순정’(박일남), ‘갑돌이와 갑순이’(김세레나) 등이다. 청바지, 긴머리, 미니스커트, 잠자리 선그라스, 생맥주와 함께 70년대는 통기타와 포크송의 시대였다. 통기타 음악의 특징은 단순한 반주에 가사가 중시되던 자유로운 스타일이다. 그 시절 젊은이들의 솔직함과 자유분방함이 노래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대표곡으로 ‘아침이슬’ ‘행복의 나라’(양희은), ‘친구’(김민기), ‘꽃보다 귀한 여인’ ‘고래사냥’(송창식), ‘비와 나’(윤형주), ‘길가에 앉아서’(김세환), ‘ 하얀 손수건’(트윈폴리오), ‘모닥불’(박인희) 등을 꼽을 수 있다. 70년대는 한국 록 음악의 태동기였다. 펄시스터즈의 ‘커피 한잔’ ‘님아’, 김추자의 ‘님은 먼곳에’ ‘거짓말이야’ 등의 히트 곡을 작곡한 신중현은 한국 록의 아버지로 불린다. 트로트는 60년대에 비해 세력이 약해지기는 했지만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를 중심으로 남진-나훈아의 라이벌 구도, 저음이 매력적인 문주란과 민요풍 노래의 대가 하춘화 등 여전한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유신 독재는 대중문화에 까지 영향을 미쳐 청년문화의 자유로움을 짓밟는다. 몇몇 가수의 음반은 출반이 금지되고 또 금지곡이 된다. 한편 TV 보급이 늘어나면서 70년대 후반을 강타한 전 세계적인 디스코 열기와 맞물려 화려한 쇼 프로그램의 시대가 열렸다. ![]() 1957년 KBS 공개홀이 서울 태평로 대한공론사 빌딩에 마련되어 개관기념 축하공연이 열렸다 ![]() 1961년 12월 서울중앙방송국 주최로 열린 제2회 전국 아마추어 가수 경연대회장 ![]() 1965년 월남 파병 국군을 위문하고 귀국 인사차 청와대에 들른 연예인들. 가수 이미자, 위키리, 코미디언 구봉서, 곽규석 등이 보인다 ![]() 1968년 가수들의 일선장병 위문공연 모습. 사진 위는김세레나. ~ [ 출처 : 동아일보 동고동락 웅이♪ (4989candy)님 ] |
하산도 등산이다. (0) | 2006.10.02 |
---|---|
기억하세요 혼자가 아니란것을 (0) | 2006.10.02 |
19만원짜리 동남아여행 (0) | 2006.09.30 |
오판과 치적 (0) | 2006.09.29 |
탈북자지원 보수.진보 왜따지나? (0) | 2006.09.29 |